강수량

연구분야 : B160300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클래스 : 수준/정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019

한자 : 降水量
영어 : amount of precipitation

c01-03 수준/정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강우량 [ 降雨量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가뭄 [drought]

affects (영향)

 

 

지표면

RT (관련어)

 

 

강우계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집중 호우 [ 集中豪雨 ]

장기예보 서비스의 현황 분석 및 활용 방안 연구: 에너지 산업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the Usage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the Utilization Plan of the Long-term Weather Forecasts Service: The Case of Energy Industry

한국지도학회지 | 11 | 3 | 2011 | 지도학

우리나라 양묘산업의 기상재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in Korean Nursery Industry

기후연구 | 5 | 1 | 2010 | 기후학

우리나라 양묘산업의 기상재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in Korean Nursery Industry

기후연구 | 5 | 1 | 2010 | 기후학

영남내륙지방의 강수특성 변화

Changes in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ver Inland of Yeongnam Region

기후연구 | 6 | 2 | 2011 | 기후학

한반도 강수의 양극화 현상

Polarization Phenomenon of Precipit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기후연구 | 5 | 1 | 2010 | 기후학

한반도 강수의 양극화 현상

Polarization Phenomenon of Precipit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기후연구 | 5 | 1 | 2010 | 기후학

한국의 최근 10년의 기온과 강수 변화

The recent (2001-2010) changes 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related to normals (1971-2000) in Korea

국토지리학회지 | 45 | 2 | 2011 | 지리학

DAMBRK 모형에 의한 댐 하류지역의 홍수분석

Flood Analysis of Downstream Area from Dam Using DAMBRK Model

Crisisonomy | 7 | 1 | 2011 | 정책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