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외교

연구분야 : B020504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 외교사/외교학사

클래스 : 교환/교류/교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065

한자 : --外交
영어 : energy diplomacy

x03-06-02 교환/교류/교제

주체자

정부 (政府)

대상자1

상대국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자원 외교 [ 資源 外交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외교 [ 外交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가즈프롬 [Gazprom]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자원 전쟁 [ 資源 戰爭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자원 [ 資源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1-02 국가명 국가명

칠레 () [Chile]

hasInstance (사례)

 

x01-02 국가명 국가명

페루 () [Peru]

한국의 대 아프리카 외교의 동학과 대응방안: 에너지·자원외교를 중심으로

The Change of Korea's Foreign Policy toward Africa: Energy and Resource Diplomacy

국제관계연구 | 16 | 2 | 2011 | 정치외교학

한국·러시아·중국 에너지 동맹: 잠재력과 문제점

Can Korea, Russia, and China Form a Strategic Energy Alliance?

국제관계연구 | 15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러시아·중국 에너지 동맹: 잠재력과 문제점

Can Korea, Russia, and China Form a Strategic Energy Alliance?

국제관계연구 | 15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의 대 아프리카 ODA와 에너지 외교 연계 방안: ENI와 중국으로부터 교훈과 틈새 전략 구축

South Korea's ODA policy and Energy Diplomacy Linking Strategy toward Africa: Lessons from ENI and China

국제관계연구 | 17 | 1 | 2012 | 정치외교학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외교와 한국

Russia's Energy Diplomacy Toward Northeast Asia and Korea

유라시아연구 | 7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외교와 한국

Russia's Energy Diplomacy Toward Northeast Asia and Korea

유라시아연구 | 7 | 1 | 2010 | 기타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