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유창성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326

한자 : 非流暢性
영어 : disfluency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IN (IN)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언어 () [ 言語 ]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유창성 (말하기) [ 流暢性 ]

R1:개념적

RT (관련어)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구어 속도 () [ 口語速度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수반 행동 [ 隨伴行爲 ]

파라다이스-유창성 검사 도구(P-FA)의 재규준화 연구

A Study on the Norm of Paradise-Fluency Assessment

특수교육 | 9 | 1 | 2010 | 특수교육

파라다이스-유창성 검사 도구(P-FA)의 재규준화 연구

A Study on the Norm of Paradise-Fluency Assessment

특수교육 | 9 | 1 | 2010 | 특수교육

느린 구어 말하기에서 나타나는 정상 성인의 속도조절 특성

언어치료연구 | 20 | 1 | 2011 | 교육학

속화성인과 말더듬성인의 비유창성 비교

Comparison of the Disfluency of Adult Clutterers and Adult Stutterers

언어치료연구 | 20 | 4 | 2011 | 교육학

학령전 아동의 담화유형에 따른 비유창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Accordingto Discourse Type in Preschool Children

언어치료연구 | 21 | 3 | 2012 | 교육학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 비교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Maze Linguistic o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4 | 2010 | 교육학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 비교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Maze Linguistic o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4 | 2010 | 교육학

어머니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A Study on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Mothers' Nationality

언어치료연구 | 20 | 1 | 2011 | 교육학

Actor's Speech Regression for Character Design in Contemporary Korean Cinema : Analysis of Quantified Characteristics of Disfluencies in Spontaneous Speech

한국 현대영화에서 캐릭터 디자인을 위해 나타나는 대사의 퇴행 : 대화체 대사의 비유창성에 대한 정량적 특징 분석

씨네포럼 | 11 | 2010 | 영화

Actor's Speech Regression for Character Design in Contemporary Korean Cinema : Analysis of Quantified Characteristics of Disfluencies in Spontaneous Speech

한국 현대영화에서 캐릭터 디자인을 위해 나타나는 대사의 퇴행 : 대화체 대사의 비유창성에 대한 정량적 특징 분석

씨네포럼 | | 11 | 2010 | 영화

구어 비유창성 현상의 주석 체계 연구

A Study on Tagset of Disfluency Phenomena in Spoken Korean

텍스트언어학 | 30 | 2011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