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39
한자 : 燕行錄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연행 과정의 食生活
The Food Life of Chung-Dynasty-bound Envoy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연행 과정의 食生活
The Food Life of Chung-Dynasty-bound Envoy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淸人 繆公恩과 朝鮮使臣 朴來謙의 교유 — 燕行錄에 관한 네 번째 연구 —
清人缪公恩与朝鲜使臣朴来谦之交流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淸人 繆公恩과 朝鮮使臣 朴來謙의 교유 — 燕行錄에 관한 네 번째 연구 —
清人缪公恩与朝鲜使臣朴来谦之交流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관서지방의 공연 시공간과 향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ime-Space and Appreciation for the Performance Culture of Gwanseo Region in Late Joseon Period:Focusing on Analysis of Terminology
공연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예술일반
淸人 繆公恩과 朝鮮使臣 朴來謙의 교유 — 燕行錄에 관한 네 번째 연구 —
清人缪公恩与朝鲜使臣朴来谦之交流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淸人 繆公恩과 朝鮮使臣 朴來謙의 교유 — 燕行錄에 관한 네 번째 연구 —
清人缪公恩与朝鲜使臣朴来谦之交流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
필담의 문화사 ― 조선후기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한 방법
Cultural History of Written Conversation ―An East Asian Form of Cultural Exchange for Late Joseon Intellectuals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淸人 繆公恩과 朝鮮使臣 朴來謙의 교유 — 燕行錄에 관한 네 번째 연구 —
清人缪公恩与朝鲜使臣朴来谦之交流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淸人 繆公恩과 朝鮮使臣 朴來謙의 교유 — 燕行錄에 관한 네 번째 연구 —
清人缪公恩与朝鲜使臣朴来谦之交流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연행 기록을 통해본 18~19세기 북경 유리창 서점가
The Bookstores Street in Beijing Liulichang(琉璃廠) Researched through The Reports of Ching Travel from 18C to 19C
동아시아문화연구 | 50 | 2011 | 기타인문학
홍대용과 ‘實地’로서의 유리창-시장의 발견
Dae Yong Hong and Liulichang as the Silji(實地)-Discovery of Market
동아시아문화연구 | 50 | 2011 | 기타인문학
燕行使들의 間文化的 體驗에 대한 認識 樣相 考察-壬亂 收拾期 喪葬禮와 文物 認識을 중심으로-
A Thought on Awareness Aspects of Intercultural Experience by Envoys dispatched to Beijing-focused on the awarness of funeral service and rites and culture for the settlement period after Imjin Japanese Invasion-
漢文敎育硏究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燕行使들의 間文化的 體驗에 대한 認識 樣相 考察-壬亂 收拾期 喪葬禮와 文物 認識을 중심으로-
A Thought on Awareness Aspects of Intercultural Experience by Envoys dispatched to Beijing-focused on the awarness of funeral service and rites and culture for the settlement period after Imjin Japanese Invasion-
漢文敎育硏究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試論蘇世讓中國使行詩的主要觀點
중국인문과학 | 47 | 2011 | 중국어와문학
「환희기(幻戱記)」 재론(再論) ― 연암(燕巖)의 정치적 알레고리(allegory) 분석의 일고(一考)
Rereading 「Hwanhuigi(幻戱記)」 ― Focusing on Yeon-am(燕巖)'s Political Allegory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북경 유리창(琉璃廠)과 지식인 교류의 세 층위
Beijing Liulichang and The Three Layers of Intellectuals’ Exchange
한국언어문화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경 유리창(琉璃廠)과 지식인 교류의 세 층위
Beijing Liulichang and The Three Layers of Intellectuals’ Exchange
한국언어문화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輶軒續錄』을 통해 본 姜時永과 淸朝文士들의 문화교류
从《輏轩续录》看朝鲜使臣与中国文士间的文化交流
열상고전연구 | 33 | 2011 | 기타국문학
홍대용과 ‘實地’로서의 유리창-시장의 발견
Dae Yong Hong and Liulichang as the Silji(實地)-Discovery of Market
동아시아문화연구 | 50 | 2011 | 기타인문학
燕行錄의 伯夷·叔齊 관련 漢詩 硏究-壬亂 收拾期를 中心으로-
A Study on Chinese Poets Associated with Baek-Yi & Suk-Jae in Yeonhaengrok-Based on settlement time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燕行錄의 伯夷·叔齊 관련 漢詩 硏究-壬亂 收拾期를 中心으로-
A Study on Chinese Poets Associated with Baek-Yi & Suk-Jae in Yeonhaengrok-Based on settlement time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淸代 朝行錄 전승 현황과 특성
The Joseon Visit Report written by Chinese of Qing Dynastic
인문과학 | 46 | 2010 | 기타인문학
淸代 朝行錄 전승 현황과 특성
The Joseon Visit Report written by Chinese of Qing Dynastic
인문과학 | | 46 | 2010 | 기타인문학
燕行錄에 나타난 華表柱 담론과 漢詩에 형상화된 華表柱
Discourses about Hwapyoju reflected upon Yeonhaengrok and Hwapyoju in Chinese poem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豊潤 高麗鋪村의 유래 고찰
The historical study of Fengrun(豊潤) Gaolipu cun(高麗鋪)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豊潤 高麗鋪村의 유래 고찰
The historical study of Fengrun(豊潤) Gaolipu cun(高麗鋪)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任義伯(1605~1667)의 활동과 『今是堂燕行日記』
Im Uibaek and his Yeonhaeng Ilgi, a diary of journey to Qing china
영남학 | 19 | 2011 | 기타인문학
朝鮮文人李海應筆下的嘉慶皇帝形象
On the Image of Emperor 'Jiaqing' written by Li hae-eng in Chosun dynasty
중국인문과학 | 50 | 2012 | 중국어와문학
豊潤 高麗鋪村의 유래 고찰
The historical study of Fengrun(豊潤) Gaolipu cun(高麗鋪)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豊潤 高麗鋪村의 유래 고찰
The historical study of Fengrun(豊潤) Gaolipu cun(高麗鋪)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燕行錄에 나타난 華表柱 담론과 漢詩에 형상화된 華表柱
Discourses about Hwapyoju reflected upon Yeonhaengrok and Hwapyoju in Chinese poem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庚子燕行雜識』를 통해 본 李宜顯의 淸 文物 認識
Recognition on the Qing Civilization of Yi Eui-hyeon Described in Gyeongja Yeonhaeng Japji Recognition on the Qing Civilization of Yi Eui-hyeon Described in Gyeongja Yeonhaeng Japji
역사교육논집 | 48 | 2012 | 역사학
燕行錄의 伯夷·叔齊 관련 漢詩 硏究-壬亂 收拾期를 中心으로-
A Study on Chinese Poets Associated with Baek-Yi & Suk-Jae in Yeonhaengrok-Based on settlement time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燕行錄의 伯夷·叔齊 관련 漢詩 硏究-壬亂 收拾期를 中心으로-
A Study on Chinese Poets Associated with Baek-Yi & Suk-Jae in Yeonhaengrok-Based on settlement time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여행문학으로 읽는 김정중의 『연행록』 -정가현(程嘉賢)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Kim Jeong Jung’s 『Yeonhaengrok』 as Travel Literature -Focusing on his exchange with Jeong Ga Hyeon (程嘉賢)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1609년 여름 柳夢寅 燕行 길의 몇 장면 - 압록강에서 廣寧까지
Several Scenes on Diplomatic Trip Route to Beijing of Yu Mong-In in Summer 1609 From Aprokgang River to Guangning
한국시가문화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전반기 對明 海路使行에 관한 행차 분석
Analysis of Trips of Envoys, sent from Joseon(朝鮮) to Ming(明) dynasty by Se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연행가사의 국내 여정에 나타난 취한 사행의 모습과 그 의미
Drunken Joseon Envoys to Beijing Appeared in Yeonhaenggasa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연행가사의 국내 여정에 나타난 취한 사행의 모습과 그 의미
Drunken Joseon Envoys to Beijing Appeared in Yeonhaenggasa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老稼齋燕行日記』敍述技法의 특징
Research on Narrative Methods of NogajaeYeonhangilgi
한중인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燕行錄의 연구 현황과 전망 -중국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ive Vision on Researching Records of Ming and Qing Dynasty by Korean Diplomatic Corps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燕行錄에 보이는 北京 이미지 연구
A Study on Image of Beijing(北京) in Yeon-Haeng-Rok(燕行錄)
중국어문학지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
燕行錄에 보이는 北京 이미지 연구
A Study on Image of Beijing(北京) in Yeon-Haeng-Rok(燕行錄)
중국어문학지 |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16-19세기 越南漢文燕行文獻에 수록된 朝鮮 使行文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hosun Emissary Literature in Hanwen Yanxingwenxian of Vietnam during 16th Century to 19th Century
중국어문논총 | 49 | 2011 | 중국어와문학
17~19세기 동아시아 상황과 燕行․燕行錄
onhaeng and Yonhaengrok in East-asian Circumstance during 17th century to 19th century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17~19세기 동아시아 상황과 燕行․燕行錄
onhaeng and Yonhaengrok in East-asian Circumstance during 17th century to 19th century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燕行錄》所反映的淸代口語硏究
중국어문학지 | 39 | 2012 | 중국어와문학
淸代 한중 지식인 교류와 文字獄 - 『乾淨衕會友錄』을 중심으로
Exchanges and literary inquisition in the age of Qing dynasty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동아시아문화연구 | 47 | 2010 | 기타인문학
淸代 한중 지식인 교류와 文字獄 - 『乾淨衕會友錄』을 중심으로
Exchanges and literary inquisition in the age of Qing dynasty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동아시아문화연구 | | 47 | 2010 | 기타인문학
평양의 文化圖像學과 기행가사
A Study of Cultural Iconography of Pyungyang and Travel Kasa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燕行錄과 燕行歌辭에 나타난 關西 도시 비교의 양상
On the ways of comparison between Yeonhaengrok(연행록) and Yeonhaenkasa(연행가사)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燕行錄과 燕行歌辭에 나타난 關西 도시 비교의 양상
On the ways of comparison between Yeonhaengrok(연행록) and Yeonhaenkasa(연행가사)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강남 여인 季文蘭의 題壁詩에 대한 조선 使行詩의 관점 연구
析論有關季文蘭題壁詩的朝鮮使行詩之觀點問題
중국학연구 | 61 | 2012 | 중국어와문학
연행 문학의 미의식 -두려움과 설레임, 그리고 그리움-
Aesthetic Consciousness in Literature on Travels to Yenching -Fear, excitement and yearning-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燕行錄》早期資料所反映的明清漢語口語的特徵
중국어문학지 | 35 | 2011 | 중국어와문학
朝鲜燕行使者眼中的清代中国东北地区形象
조선 연행사(燕行使)가 본 청대(清代) 중국 동북지구 형상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
연행록에 나타난 幻術認識의 변화와 박지원의 「幻戱記」
The Transition of Concepts on Illusion in Yeonhaengrok and Park Ji-won's "Hwanheegi"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연행록에 나타난 幻術認識의 변화와 박지원의 「幻戱記」
The Transition of Concepts on Illusion in Yeonhaengrok and Park Ji-won's "Hwanheegi"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朝鲜燕行使者眼中的清代中国东北地区形象
조선 연행사(燕行使)가 본 청대(清代) 중국 동북지구 형상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
燕行錄에 실린 중국 演戱와 그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
燕行錄所載之中國演戱與朝鮮士人對此之態度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燕行錄을 통해 본 康雍 年間 中國 書籍 유입에 대하여
On the Inflow of Chinese Books into Chosun during the Kangxi-Yongzheng Era Seen in Yeonhaengrok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燕行錄을 통해 본 康雍 年間 中國 書籍 유입에 대하여
On the Inflow of Chinese Books into Chosun during the Kangxi-Yongzheng Era Seen in Yeonhaengrok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연행록 세계인 인식 담론에서 가치와 역가치
A Study on Recognition of World People in Yeonhangrok(연행록)
국학연구론총 | 9 | 2012 | 기타인문학
燕行錄에 실린 중국 演戱와 그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
燕行錄所載之中國演戱與朝鮮士人對此之態度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燕行錄에 보이는 中國 女性 形象
Images of Chinese Women in 'Yeon-Haeng-Rok(Records of Chosun Embassy to China)'
중국어문논총 | 54 | 2012 | 중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