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혜영 소설에 나타난 장소상실과 그 의미 - 집, 일터, 길의 공간 구조 및 인문지리학적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lacelessness and Meaning in Pyun, Hye-young's novels - Focusing on the spatial structure and human geographical awareness of house, workplace, road -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광섭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 이미지와 생태적 상상력
Place Imagery and ecological-imagination of Kim, Kwang-seob’s later poem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장소애’와 미적 토속성의 계보 ― 소월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Baek Seok's ‘Topo–philia' and Genealogy of Aesthetic folkway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밀다원 시대」에 나타난 ‘부산’과 ‘밀다원’의 장소감
The Sense of Place of 'Busan' and 'Mildawon' Represented in 「Mildawon Sida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산업시설에 투영된 무장소성: 당인리 발전소를 둘러싼 갈등의 이해
Placelessness Reflected in a Modern Industrial Facility: Rethinking the Conflicts over Dangin-ri Power Plant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공간의 자본화와 장소상실: 지아장커의 <소무>, <세계>, 그리고 <스틸라이프>
The Capitalization of Space and Its Placelessness in Jia Zhangke’s Pickpocket, The World, and Still Life
문학과 영상 |
12 |
2 |
2011 |
영상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