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학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413

STNet ID : 9001579

한자 : 濟州學
영어 : Study on Jeju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학 [ 韓國學 ]

한국과학사에서 본 석주명

Seok Joo-myung in the History of Science in Korea:From an Entomologist to a Natural Philosopher

탐라문화 | 40 | 2012 | 기타인문학

나비분류학에서 인문학까지 -석주명식 확산형 학문의 전개와 의미-

From Butterfly Taxonomy to the Humanities: The Growth and Significance of Seok Joo-myung’s Butterfly Research

탐라문화 | 40 | 2012 | 기타인문학

석주명의 제주학 연구의 의의

Jeju Studies of Seok Joo-Myung

탐라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

제주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The State and Tasks of History of Jeju Education

탐라문화 | 41 | 2012 | 기타인문학

제주에서 철학하기 試論-로컬리티 담론과 제주학 연구 현황 검토를 중심으로

Current View of Studying Philosophy in Jeju -Centering on the Review of Locality Discussion and the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Studying Jeju Study

탐라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

석주명의 제주도 자료에 나타난 제주문화 : 『제주도수필집』에 나타난 제주도의 자연과 인문환경의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Culture of Jeju Shown in the Jeju Island Materials of Joomyoung Seok : Centering on the Critical Review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Nature and Humanity Environment Shown in 『Jeju Island Essay Collection』

한국출판학연구 | 37 | 2 | 2011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