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시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440

한자 : 輓詩, 挽詩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c02-01 감정 감정

애도 () [ 哀悼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詩) () [ 詩 ]

식민지시기 한시 작가로서의 崔益翰—연작체 만시 「哭兒二十五絶」을 중심으로

Changhae Choe Ik-hwan as a Chinese Classic Poet in the Colonial Period

반교어문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北渚 金瑬의 한시 연구

A Study on Kim Ryu’s Classical Chinese Poetry

한국인물사연구 | 18 | 2012 | 역사학

月皐 趙性家의 시인적 면모에 대하여

A study on Cho Seong-ga's appearance as a poet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月皐 趙性家의 시인적 면모에 대하여

A study on Cho Seong-ga's appearance as a poet

南冥學硏究 | | 30 | 2010 | 철학

北渚 金瑬의 한시 연구

A Study on Kim Ryu’s Classical Chinese Poetry

한국인물사연구 | 18 | 2012 | 역사학

朴世堂 挽詩의 흐름과 표현 양상

A Study on Expression Aspect of Park Se-dang's Mansi(만시:condolatory poetry)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못 다 한 사랑과 그리움의 노래-悼亡詩의 전통과 미-

Songs of Unfinished Love and Missing—Tradition and Beauty of Domangsi—

동방한문학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못 다 한 사랑과 그리움의 노래-悼亡詩의 전통과 미-

Songs of Unfinished Love and Missing—Tradition and Beauty of Domangsi—

동방한문학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후기 挽詩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목은 이색의 시를 중심으로-

The death imager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ansi(挽詩)' in the last Koryo Dynasty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