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로부터의 격발들, 고유한 연구의 지정학에 대하여 ―한국현대문학연구와 이론, 예비적 고찰 혹은 그래프·지도·수형도
Inbursts from the Outside, Geopolitics of the Vernacular Studies ―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graphs, maps and trees on the problematics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동리와 조선적인 것 -일제말 김동리 문학사상의 형성 구조와 성격에 대하여-
Kim Dongri and his theory on Korean shamanism as alternative philosophy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동리와 조선적인 것 -일제말 김동리 문학사상의 형성 구조와 성격에 대하여-
Kim Dongri and his theory on Korean shamanism as alternative philosophy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카롤 보이티와(Karol Wojtyla)의 인간 이해와 도덕·윤리과 교육에의 함의
Karol Wojtyla's Anthropological Reflection and its Implication to Moral Education
윤리교육연구 |
21 |
2010 |
윤리교육학
카롤 보이티와(Karol Wojtyla)의 인간 이해와 도덕·윤리과 교육에의 함의
Karol Wojtyla's Anthropological Reflection and its Implication to Moral Education
윤리교육연구 |
|
21 |
2010 |
윤리교육학
역사자원의 문화콘텐츠화 과정에 내재된 포스트모던적 의미- 역사자원과 관광의 관계를 중심으로-
A Post-modern Significance Immanent in the Process of Making Cultural Contents of Historical Resources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굿문화의 전통과 문화적 정체성
The Tradition of Gut Culture and Cultural Identity
남도민속연구 |
20 |
2010 |
역사학
굿문화의 전통과 문화적 정체성
The Tradition of Gut Culture and Cultural Identity
남도민속연구 |
|
20 |
2010 |
역사학
문화유산 관광지의 여행 경험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 미치는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북촌 한옥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f th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role of Tour Experience to the Cultural Heritage Site
대한경영학회지 |
25 |
2 |
2012 |
경영학
한국사학계에서 생활사의 가능성과 한계: 송기호 저 생활사 세 권에 대한 서평
Rethinking Prospects and Limits of Everyday Life Studies in Korean History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文化觀光의 固有性과 脫近代觀光- 文化遺産의 觀光資源化에 관한 論議 -
Authenticity in Cultural Tourism and the Postmodern Tourism: A Discourse of Developing Cultural Heritage as Tourism Resource
관광학연구 |
34 |
2 |
2010 |
관광학
文化觀光의 固有性과 脫近代觀光- 文化遺産의 觀光資源化에 관한 論議 -
Authenticity in Cultural Tourism and the Postmodern Tourism: A Discourse of Developing Cultural Heritage as Tourism Resource
관광학연구 |
34 |
2 |
2010 |
관광학
관광객의 고유성 인식 수준에 따른 관광체험 차이 연구 - 서울 북촌을 방문한 외래객을 사례로 -
Tourists' Authenticity Percep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Tourism Experience: A Sample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Seoul Buckchon Traditional Village
관광학연구 |
35 |
2 |
2011 |
관광학
민속마을 관광객의 고유성 인식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고유성과 무대화된 고유성 개념의 적용 -
The Effect of Folk Village Tourists’ Perceived Authenticity on Satisfaction - An Application of Authenticity and Staged Authenticity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2 |
2012 |
기타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