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여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B010000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945

STNet ID : 9001565

한자 : 缺如
영어 : lack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StateOf (상태의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실존주의 () [ 實存主義 ]

이상 시의 아이러니에 나타난 환상의 실패와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에 관한 소고 - 정신분석의 관점으로 읽은 「꽃나무」·「絶壁」·「空腹」에 대한 주석

The Study on a failure of the phantasy and a possibility of a ethical subject in the poetic irony of LeeSang.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 시의 아이러니에 나타난 환상의 실패와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에 관한 소고 - 정신분석의 관점으로 읽은 「꽃나무」·「絶壁」·「空腹」에 대한 주석

The Study on a failure of the phantasy and a possibility of a ethical subject in the poetic irony of LeeSang.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포스트-노스탤지어’: 90년대 르네상스 영화와 욕망의 시선

“Post-Nostalgia": Renaissance Films of 1990's and the Gaze of Desire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포스트-노스탤지어’: 90년대 르네상스 영화와 욕망의 시선

“Post-Nostalgia": Renaissance Films of 1990's and the Gaze of Desire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

리스트(F. Liszt)의 삶과 예술을 통해서 본 주체의 분열과 성직자로의 귀의가 주는 의미 -라캉(J. Lacan)의 정신분석이론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the subject splitting and the conversion of priest seen through life and art of F. Liszt.-concentrating on psychoanalysis theory of Lacan-

한국개혁신학 | 28 | 2010 | 기타기독교신학

리스트(F. Liszt)의 삶과 예술을 통해서 본 주체의 분열과 성직자로의 귀의가 주는 의미 -라캉(J. Lacan)의 정신분석이론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the subject splitting and the conversion of priest seen through life and art of F. Liszt.-concentrating on psychoanalysis theory of Lacan-

한국개혁신학 | 28 | | 2010 | 기타기독교신학

영화 텍스트의 시간과 기억 -임순례 초기 영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ime and Memory in Film Text

문학교육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오인’의 탈 벗기와 소외/분리의 윤리―최인훈의 「가면고」 연구

A Study on the ethics of alienation/ separation of Gamyeongo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악의 존재론적 의미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론

St. Thomas Aquinas on the Ontological Meaning of Evil

신학과철학 | 20 | 2012 | 기타가톨릭신학

하이데거와 사르트르의 “무”개념

The Concept of the Nothing in the Philosophy of Heidegger and Sartre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라깡 정신분석의 오이디푸스와 거세

OEdipe et Castration de Psychanalyse J. Lacan

현대정신분석 | 13 | 1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