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949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반전 현상 () [ 反轉現像 ]

탈식민주의적 시각에서 본 <토지> 속의 일본, 일본인, 일본론

A Study on Japan, Japanese, Japanese discourse in Toji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탈식민주의적 시각에서 본 <토지> 속의 일본, 일본인, 일본론

A Study on Japan, Japanese, Japanese discourse in Toji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영근의 「김미순전」에 나타난 들뢰즈적 ‘정동’의 연극성

The Theatricality of Deleuze's Emotional Movement(JeongDong) in Park YoungKeun's Kim Mi-Soon Jeon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이해조 <구의산>의 <조생원전> 개작 양상 연구

The Study on Aspects of Adaptation Yi-Hae-Jo's from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절구, 시조, 하이쿠의 미학적 비교

An Aesthetical Comparison between Jul-gu (Chinese quatrain), Si-jo (Korean old poem) and Haiku (Japanese old poem)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오웬과 전봉건의 전쟁시 비교 고찰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Owen and Jeon Bong-Geon's War Poetry

한국문학논총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오웬과 전봉건의 전쟁시 비교 고찰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Owen and Jeon Bong-Geon's War Poetry

한국문학논총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日 平和敎育의 活性化 方案 硏究 - 中・高等學校 敎科書에 對한 分析을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ways to vitalize peace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Centering on the analysis of middle․high school textbook

일본어문학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韓・日 平和敎育의 活性化 方案 硏究 - 中・高等學校 敎科書에 對한 分析을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ways to vitalize peace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Centering on the analysis of middle․high school textbook

일본어문학 |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본인이 겪은 한국전쟁-참전에서 반전까지

The Japanese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 From joining the war to opposing the war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일본인이 겪은 한국전쟁-참전에서 반전까지

The Japanese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 From joining the war to opposing the war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반전과 함께 일어나는 인지’에 대하여 ― 아리스토텔레스의 플롯 이론 연구

Was ist ‘die Wiedererkennung, die mit der Peripetie eintritt’? ― Eine Studie zur aristotelischen Fabeltheorie

독어독문학 | 51 | 4 | 2010 | 독일어와문학

‘반전과 함께 일어나는 인지’에 대하여 ― 아리스토텔레스의 플롯 이론 연구

Was ist ‘die Wiedererkennung, die mit der Peripetie eintritt’? ― Eine Studie zur aristotelischen Fabeltheorie

독어독문학 | 51 | 4 | 2010 | 독일어와문학

『아들과 연인』: 해방과 새로운 삶을 향한 반전

Sons and Lovers: The Reversal for the Release and a New Life

D.H. 로렌스 연구 | 19 | 2 | 2011 | 영어와문학

墨子 反戰論의 이론적 근거와 한계

Theoretical Basis and Limitation of Mo tzu's Antiwar Theory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墨子 反戰論의 이론적 근거와 한계

Theoretical Basis and Limitation of Mo tzu's Antiwar Theory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