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발자국

연구분야 : B141005 사회과학 > 행정학 > 분야별행정 > 환경행정

클래스 : 지수/지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956

한자 : 生態--
영어 : Ecological Footprint

d03-04 지수/지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EF [Ecological Footprint]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지속가능한 개발 () [ 持續可能--開發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청정 개발 체제 [ 淸淨開發體制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생태적자 [ 生態赤字 ]

도서의 ʻ환경지수 표시ʼ에 대한제안 연구

A proposing study about ‘the environmental land mark’ of the book

한국출판학연구 | 37 | 2 | 2011 | 신문방송학

지속가능한 소비를 위한 국제 기후변화 대응방안 - 생산 중심적 배출통계의 교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Way to Transform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Response toward Sustainable Consumption: Focused on Correction of Production-based Inventory

한국정책학회보 | 19 | 2 | 2010 | 정책학

지속가능한 소비를 위한 국제 기후변화 대응방안 - 생산 중심적 배출통계의 교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Way to Transform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Response toward Sustainable Consumption: Focused on Correction of Production-based Inventory

한국정책학회보 | 19 | 2 | 2010 | 정책학

생태발자국 표준방법론의 한국적 적용: 경기도 지속가능성 평가를 중심으로

The Evaluation of Gyeonggi-Do's Sustainability by Ecological Footprint Analysis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21 | 4 | 2011 | 행정학

도시지역의 근린단위 공간지수체계에 관한 연구 - 도시개발체계의 트랜섹트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Urban Settlement Index for Urban Clean Development Mechanism - Case Study of Spatial Eco-Footprint on Community Units

도시설계 | 12 | 6 | 2011 | 도시개발/계획

소비범주를 중심으로 한 생태발자국 측정 : 경기도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cological Footprint Accounts by the Final Consumption Categories : Focused on the Ecological Footprint Assessment in Gyeonggi-do

지방정부연구 | 15 | 1 | 2011 | 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