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타

연구분야 : A081100 인문학 > 불교학 > 불교교육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9198

한자 : 奢摩他
영어 : samatha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적정 [ 寂靜 ]

UF (비우선어)

 

 

지적 [ 止寂 ]

UF (비우선어)

 

 

등관 [ 等觀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불교 명상 () [ 佛敎冥想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관련 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위빠사나 [Vipasyana]

위빠사나 수행의 현대적 위상

Current Status of Vipassanā Meditation

禪學(선학) | 26 | 2010 | 응용불교학

위빠사나 수행의 현대적 위상

Current Status of Vipassanā Meditation

禪學(선학) | | 26 | 2010 | 응용불교학

사띠(sati)와 사마디(samādhi)의 중도적 구조에 대한 연구_초기불교와 현대심리학을 중심으로_

A Study on Middle-Path Structure in Sati and Samādhi

인도철학 | 35 | 2012 | 철학

눈이 눈을 볼 수 있는가? - 원측의 유식과 칸트의 초월적 관념론의 비교 -

Can an Eye See the Eye?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nly’(Yusik) of Won-Cheuk and the Transcendental Idealism of Kant -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

사대요소설과 명상수행, 그리고 수행의 효과 : MN. No. 62 Mahārāhulovādasutta를 중심으로

The Theory of the Four Great Elements Concerning Meditation and the Effects of Practice

인도철학 | 34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