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재론

연구분야 : A030302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사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9337

한자 : 三才論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역전 (문헌) [ 易傳 ]

풍물 굿 장단에서 박의 리듬구조와 수리체계 ―천부경의 삼재사상과 연관 지워

A Rhythm Structure and Mathematic System of Beat in the Pungmul Gut Jangdan ―Associated with the Samjae Thought of Chunbugyeong

민족미학 | 10 | 2 | 2011 | 미학일반

민족과 탈(脫)민족 논쟁의 시각에서 본 토착화 신학-제 3세대 토착화론에 대한 비판적 탐색: A. 네그리의 『제국』과 『다중』의 비판적 독해를 중심으로

A Indigenous Theology in the point of the discussion about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신학사상 | 151 | 2010 | 기독교신학

민족과 탈(脫)민족 논쟁의 시각에서 본 토착화 신학-제 3세대 토착화론에 대한 비판적 탐색: A. 네그리의 『제국』과 『다중』의 비판적 독해를 중심으로

A Indigenous Theology in the point of the discussion about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신학사상 | | 151 | 2010 | 기독교신학

한국 춤에 내재된 사상적 배경과 미적 특성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n Korean Dance from the Viewpoint of Its Thought Background

우리춤과 과학기술 | 8 | 2 | 2012 | 무용

전통문화 구성 원리로 본 국가 상징 문양에 관한 연구- 삼재론 중심의 3수분화 사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ational Emblem Considering Composition Principle of Traditional Culture- Thoughts of Trichotomy Based on the Theory of Samjae -

정보디자인학연구 | 15 | 1 | 2012 | 정보디자인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와 스토리텔링

A Study on Arirang’s Heritage of Globalization and Storytelling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