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매체

연구분야 : B190201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언론학/언론정보학 > 커뮤니케이션이론

클래스 : 도구/수단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9375

한자 : 多媒體

a04-06 도구/수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뉴 미디어 () [new media]

hasComponent (구성요소)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영상 매체 [ 映像媒體 ]

hasComponent (구성요소)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인쇄 매체 [ 印刷媒體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다매체활용 교육 [ 多媒體活用敎育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x02-01 시대 시대

멀티미디어 시대 [ --時代 ]

매체환경 변화에 따른 지상파TV의 시청행태 및 광고 시청률 변화

Impact on TV viewing patterns and advertising ratings due to th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한국광고홍보학보 | 12 | 2 | 2010 | 신문방송학

매체환경 변화에 따른 지상파TV의 시청행태 및 광고 시청률 변화

Impact on TV viewing patterns and advertising ratings due to th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한국광고홍보학보 | 12 | 2 | 2010 | 신문방송학

방송ㆍ통신 융합 및 다매체시대의 광고산업인력 양성방안 연구

How to Educate Advertising Field Human Resources during the Era of Multimedia and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5 | 2 | 2011 | 인터넷신문/방송

한국어교육에서 대중문화의 위상

The status of Mass-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연구 | 29 | 2012 | 국어교육

다매체 수용자의 장르 선호와 장르 이용에 따른정치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Genre Preference and Usage on Audience’s Political Socialization

한국언론학보 | 54 | 1 | 2010 | 신문방송학

다매체 수용자의 장르 선호와 장르 이용에 따른정치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Genre Preference and Usage on Audience’s Political Socialization

한국언론학보 | 54 | 1 | 2010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