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방해죄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0212

한자 : 司法妨害罪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허위진술죄 [ 虛僞陳述罪 ]

2002 아더앤더슨 유죄평결의 의미 - 미국 판례상 집단인식에 의한 법인책임 법리의 형성과 변용 -

형사법의 신동향 | 25 | 2010 | 형법

2002 아더앤더슨 유죄평결의 의미 - 미국 판례상 집단인식에 의한 법인책임 법리의 형성과 변용 -

형사법의 신동향 | | 25 | 2010 | 형법

미국의 형사절차에 대한 연구 ― 사법방해죄와 허위진술죄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Criminal Procedure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The Crime of False Statement and the Crime of Obstructing Justice ―

미국헌법연구 | 23 | 2 | 2012 | 헌법

사법방해죄 도입가능성과 그 필요성 검토

A Study on the “Obstruction of Justice”

형사정책연구 | 23 | 3 | 2012 | 법학

사법방해죄 도입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study on the Introduction Obstruction of Justice

동북아법연구 | 6 | 1 | 2012 | 비교법학

검찰의 외국사법제도 도입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사법방해죄, 허위진술죄, 플리바겐, 참고인구인제도, 영장항고제를 중심으로 -

A Brief Review On the Prosecution’s Attempt to Adopt Foreign Judicial Systems and New Types of Crimes: In re, the Crime of Obstructing Justice; the Crime of False Statement; Plea Bargaining; the Writ of Subpoena; Detention of Material Witness; die zwangsweise Vorführung des Zeugen; and the Immediate Appeal against the Court’s Refusal to Issue a Warrant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검찰의 외국사법제도 도입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사법방해죄, 허위진술죄, 플리바겐, 참고인구인제도, 영장항고제를 중심으로 -

A Brief Review On the Prosecution’s Attempt to Adopt Foreign Judicial Systems and New Types of Crimes: In re, the Crime of Obstructing Justice; the Crime of False Statement; Plea Bargaining; the Writ of Subpoena; Detention of Material Witness; die zwangsweise Vorführung des Zeugen; and the Immediate Appeal against the Court’s Refusal to Issue a Warrant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사법방해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bstruction of Justice

법학연구 | 21 | 2 | 2010 | 법학

사법방해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bstruction of Justice

법학연구 | 21 | 2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