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요목

연구분야 : B120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과정

클래스 : 도구/수단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03

한자 : 敎授要目
영어 : course of study

a04-06 도구/수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교과중심주의 [ 敎科中心主義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학습 목표 [ 學習目標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교과중심 교육과정 () [ 敎科中心敎育課程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교육 내용 () [ 敎育內容 ]

한국어 거절 화행 교육의 방안 - 중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

A Way of Teaching the Korean Speech Act of Refusals for Intermediate Learners in KFL

서강인문논총 | 30 | 2011 | 기타인문학

일본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분석 -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교재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d at the Universiy in Japan - focusing on the most frequently used ones -.

한국어교육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시대 교육과정 제시 체계와 초등 교육과정의 변천

日帝時代における敎育課程の提示體系と初等敎育課程の變遷

교육사학연구 | 20 | 2 | 2010 | 교육사학

일제시대 교육과정 제시 체계와 초등 교육과정의 변천

日帝時代における敎育課程の提示體系と初等敎育課程の變遷

교육사학연구 | 20 | 2 | 2010 | 교육사학

재외동포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교수요목에 대한 소고 -학습자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The proposal of the syllabus of lectures for Korean residents aborad -the needs analysis–based of learners-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학문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육에 필요한교수요목과 교재 개발 방향

On the Academic Writing Syllabus and Material

반교어문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메이지초기 관립고등교육기관의 양학교육에 대한 고찰 -『The Calendar of the Tokio kaisei-gakko 1875』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f yogaku(洋學) of the government high school  in the early age of Meiji -Focusing on analyzing『The Calendar of the Tokio kaisei Gakko 1875』-

일어일문학 | 48 | 2010 | 일본어와문학

메이지초기 관립고등교육기관의 양학교육에 대한 고찰 -『The Calendar of the Tokio kaisei-gakko 1875』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f yogaku(洋學) of the government high school  in the early age of Meiji -Focusing on analyzing『The Calendar of the Tokio kaisei Gakko 1875』-

일어일문학 | | 48 | 2010 | 일본어와문학

대학 교양일본어 과목의 가타카나 교육과 그 효과에 대하여: 선문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Katakana in Required Japanese Class at College: Focusing on the Cases from Sun Moon University

언어학 연구 | 16 | 2010 | 기타언어학

대학 교양일본어 과목의 가타카나 교육과 그 효과에 대하여: 선문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Katakana in Required Japanese Class at College: Focusing on the Cases from Sun Moon University

언어학 연구 | | 16 | 2010 | 기타언어학

한국어 교수요목을 위한 요구분석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Needs Analysis for Syllabus Design of Korean Language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수요목을 위한 요구분석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Needs Analysis for Syllabus Design of Korean Language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