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현대시 관련 근대성 담론의 층위와 특성
The Quality and Hierarchy of Modernity Discourse in Korean poetry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심양 코리아타운 ‘서탑’과 한국문화 : 심양한국주간과 2010중국글로벌한상대회의 경우
Shenyang Koreatown ‘Xita’ and Korean Culture in China: Based on: ‘Shenyang Korean Week’ Event and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Wave
재외한인연구 |
24 |
2011 |
기타인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사람의 공동묘지에 나타난 문화 정체성
The Expression of Cultural Identity in Public Cemeteries as Practiced by Koryo Saram in Central Asia
한국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글로컬 문화 시대 한식 세계화의 의미 성찰
Reflection on Meaning of Korean Food’s Globalization in Glocal Culture Age
인문콘텐츠 |
18 |
2010 |
기타인문학
글로컬 문화 시대 한식 세계화의 의미 성찰
Reflection on Meaning of Korean Food’s Globalization in Glocal Culture Age
인문콘텐츠 |
|
18 |
2010 |
기타인문학
한식의 로하스이미지가 지각된 품질,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방한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
The Impact of LOHAS Image of Korean Food on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A Case Study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관광학연구 |
35 |
3 |
2011 |
관광학
한식 반상차림의 조형성에 관한 사례분석
A Case Study on the Formativeness of Traditional Table Setting
관광학연구 |
35 |
8 |
2011 |
관광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