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중화 의식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0747

한자 : 小中華意識
영어 : small Sinocentrism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의식 (consciousness) [ 意識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북벌론 [ 北伐論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대명의리 [ 對明義理 ]

신라 ‘君子國’ 이미지의 형성

Formation of Silla's Image as the “Noble Man Country"

한국사연구 | 153 | 2011 | 역사학

<장인걸전> 속 複數의 주체와 그 의미 ―중세적 慣性과 근대적 指向의 錯綜과 屈折을 중심으로

The Plural Subjects in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대학교양교육을 위한 동아시아사 교육방안연구 -근대이후 동아시아관 형성과 현재를 중심으로-

A Study on education of East Asian history for classical college education-Mainly as the formation of the outlook on East Asia on the present after modern times

교양교육연구 | 5 | 1 | 2011 | 학제간연구

일본 고전문학 속의‘韓國’이미지의 변용

Shifts in Images of Korea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인문과학연구논총 | 31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 고전문학 속의‘韓國’이미지의 변용

Shifts in Images of Korea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인문과학연구논총 | | 31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