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교과서 속의 민속놀이 실태와 문제-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중심으로-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raditional Games with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ringing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the Forefront-
실천민속학 연구 |
19 |
2012 |
역사학
科舉制的勸學作用 -唐宋與明清的比較-
과거(科擧)의 전통 교육에 대한 영향 -당송(唐宋)과 명청(明淸)의 비교-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조손(祖孫) 관계의 전통과 격대(隔代) 교육
Traditional,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of Grandfather-Grandson Relationship
실천민속학 연구 |
16 |
2010 |
역사학
조손(祖孫) 관계의 전통과 격대(隔代) 교육
Traditional,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of Grandfather-Grandson Relationship
실천민속학 연구 |
16 |
|
2010 |
역사학
구음 교육의 목표와 구조
The Goal and Theoretical Structure of Kuŭm Education
국악교육 |
31 |
31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전통교육을 통해 본 현대 청소년인성교육 학습모형 개발 방안
The development method of youth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education : Focused on the learning model /
한국철학논집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
전통교육을 통해 본 현대 청소년인성교육 학습모형 개발 방안
The development method of youth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education : Focused on the learning model /
한국철학논집 |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