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세관

연구분야 : A040100 인문학 > 종교학 > 종교철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1284

한자 : 來世觀
영어 : afterlife view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관념 [ 觀念 ]

국문 번역본 <설공찬전>에 반영된 사생관(死生觀) 고찰

A view on life and death reflected in Seol, Gongchan-jeon a Korean-translated version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국문 번역본 <설공찬전>에 반영된 사생관(死生觀) 고찰

A view on life and death reflected in Seol, Gongchan-jeon a Korean-translated version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진정한 죽음준비는 버킷 리스트(Bucket List)에 있지 않다

Preparing for Death Really is not in the Bucket List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6 | 2010 | 원불교학

진정한 죽음준비는 버킷 리스트(Bucket List)에 있지 않다

Preparing for Death Really is not in the Bucket List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6 | 2010 | 원불교학

안중근의 저술에 나타나는 동양평화론와 기독사상

Theory of Oriental Peace and Catholicism appear in An Jung Gun's writing

평화학연구 | 11 | 4 | 2010 | 정치외교학

안중근의 저술에 나타나는 동양평화론와 기독사상

Theory of Oriental Peace and Catholicism appear in An Jung Gun's writing

평화학연구 | 11 | 4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인의 사생관에 대한 실증적 조사 연구

Koreans' Views of Life and Death: Results from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Survey

조사연구 | 12 | 3 | 2011 | 사회학

한국어와 태국어의 죽음 표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xpressions of Death in Korean and Thai

한국태국학회논총 | 19 | 1 | 2012 | 지역학

축치족의 관습: 소위 ‘자발적 죽음’과 내세관

Обычаи чукоч: “Добровольная смерть” и представление о загробном мире

한국 시베리아연구 | 16 | 1 | 2012 | 러시아

내세관(來世觀)에 따른 수의(壽衣) 선호도의 차이분석

An Analysis on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Shroud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Views of Afterlife

한복문화 | 14 | 1 | 2011 | 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