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

연구분야 : C100600 자연과학 > 대기과학 > 기상학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1680

한자 : 沈水
영어 : flooding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수해 [ 水害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바람아래 [Baramarae]

RT (관련어)

 

a03-03 자연(광물) 자연(광물)

홍수 [ 洪水 ]

침수 취약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을 사례로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Baramarae Intertidal Area in Anmyeondo,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7 | 2 | 2010 | 지리학

침수 취약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을 사례로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Baramarae Intertidal Area in Anmyeondo,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7 | 2 | 2010 | 지리학

미래의 대형 태풍 내습 시 해운대해수욕장 주변지역의 침수 피해 예측 - 관측자료의 통계분석을 통하여

Prediction of Inundation Damages of Around Area in Haeundae Beach Induced by Large-scale Typhoon of Future: Focused on Observation Data and Statistical Analysis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 4 | 2011 | 기타지리학

해운대 지역의 기후변화에 의한 해일고 변동에 따른 침수피해 평가

Evaluation of inundation damages based on the fluctuation of inundation height due to climate change in Haeundae Area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