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미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식료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1723

한자 : 公作米

a04-05 식료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공미 [ 公米 ]

UF (비우선어)

 

 

공목작미 [ 公木作米 ]

R1:개념적

RT_X (관련어►)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공무역 () [ 公貿易 ]

17세기 경상도지역 공물수취체제와 영남대동법의 실시

Collection System of Tributary Payment in Kind in Gyeongsang District and Implementation of Yeongnam Daedong Law in the 17th Century

韓國史學報 | 46 | 2012 | 역사학

19세기 對日 公貿易의 추이와 倭銅의 운용

Development of Public Trade with Japan and Management of Oedong(倭銅) in the 19th Century

대동문화연구 | 76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대일공무역과 公木

The Official Trade with Japan and Gongmok(公木) in the Later Joseon Dynasty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18세기 중엽 이후 대일무역의 변화와 節目의 제정

The Changing Pattern of Trade with Japan and Enactment of Detailed Regulation since Mid-18th Century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대일공무역과 公木

The Official Trade with Japan and Gongmok(公木) in the Later Joseon Dynasty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18세기 중엽 이후 대일무역의 변화와 節目의 제정

The Changing Pattern of Trade with Japan and Enactment of Detailed Regulation since Mid-18th Century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