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도심

연구분야 : B140500 사회과학 > 행정학 > 도시/지방행정
B170500 사회과학 > 지역개발 > 도시계획/설계/개발
G040202 예술체육 > 디자인 > 환경디자인 > 실내환경디자인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2071

STNet ID : 9002028

한자 : 舊都心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신도심 [ 新道心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도시 재생 () [ 都市再生 ]

hasPhenomenon (현상)

 

B02 변화(변동) 변화(변동)

인구 유출 [ 人口流出 ]

hasPhenomenon (현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노후 주거지 () [ 老朽住居地 ]

hasPhenomenon (현상)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완화(감소/축소/쇠퇴)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인구 감소 [ 人口減少 ]

hasPhenomenon (현상)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완화(감소/축소/쇠퇴)

도심 쇠퇴 () [ 都心衰退 ]

주민의식분석을 통한 중소도시 구도심 도시재생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군포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를 중심으로-

The Revitalization plan of Old Downtown Urban Regeneration of Small-Medium Sized Cities by Analysis on the Inhabitants Consciousness Focus on Gunpo Railway Station Sphere Development District

한국지방자치연구 | 13 | 3 | 2011 | 기타행정학

구도심가로변의 상업건축물 외부파사드 개선을 위한 옥외광고물의 색채현황 분석 및 이미지 평가

An Analysis of Color Status and Image Evaluation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for Improving the Outdoor Facade of Commercial Building Structure in Old Downtown Area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1 | 2011 | 디자인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Sustainable public design for old town local activation -Focused on Busan City-

기초조형학연구 | 13 | 2 | 2012 | 예술일반

구도심 쇠퇴상권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제주시 일도1동 “신흥로와 칠성로 인근 블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Methods to Declined Commercial Area in the Old Downtown Area ― Focused on the Nearby Blocks of Ildo-1Dong Sinheungno and Chilsungno in Jeju-Si

도시설계 | 11 | 1 | 2010 | 도시개발/계획

구도심 쇠퇴상권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제주시 일도1동 “신흥로와 칠성로 인근 블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Methods to Declined Commercial Area in the Old Downtown Area ― Focused on the Nearby Blocks of Ildo-1Dong Sinheungno and Chilsungno in Jeju-Si

도시설계 | 11 | 1 | 2010 | 도시개발/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