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량심

연구분야 : A081100 인문학 > 불교학 > 불교교육

클래스 : 감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2104

STNet ID : 9001390

한자 : 四無量心

c02-01 감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사범주 [ 四梵住 ]

UF (비우선어)

 

 

사등 [ 四等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자비 () [ 慈悲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삼독 [ 三毒 ]

대승불전에서 자비 개념의 전개 양상

Developing aspects on conception of Maitrī-karuṇā in Mahāyānist Buddhism Scriptures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8 | 1 | 2012 | 응용불교학

떼비자숫따(Tevijjasutta)에 나타난 종교관의 재정립

Reestablishment of the Perspective of Religion as Shown in the Tevijjasutta

禪文化硏究 | 11 | 2011 | 기타불교학

사무량심의 ‘해탈도’적 성격 고찰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 of Liberating Path of the Four Immeasurables -Focused on Early Buddhism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사무량심의 ‘해탈도’적 성격 고찰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 of Liberating Path of the Four Immeasurables -Focused on Early Buddhism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사무량심의 ‘해탈도’적 성격 고찰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 of Liberating Path of the Four Immeasurables -Focused on Early Buddhism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사무량심의 ‘해탈도’적 성격 고찰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 of Liberating Path of the Four Immeasurables -Focused on Early Buddhism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