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화술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기법/방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2231

한자 : 腹話術
영어 : Ventriloquism

d04-01 기법/방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인형극 [ 人形劇 ]

昭和帝国의 담론 공간과 李箱적 모더니즘 -東洋의 表象으로서의 “獚” 및 “복화술”과 “역도병”의 본질

The verbal explanation space of the Showa Empire and Lee Song’s modernism: "Hoang"( “獚”) as Oriental representation as well as essence of 'ventriloquism' and 'Reverse Syndrome'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昭和帝国의 담론 공간과 李箱적 모더니즘 -東洋의 表象으로서의 “獚” 및 “복화술”과 “역도병”의 본질

The verbal explanation space of the Showa Empire and Lee Song’s modernism: "Hoang"( “獚”) as Oriental representation as well as essence of 'ventriloquism' and 'Reverse Syndrome'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황석영 소설에 나타난 여성이주와 혼종 인식의 문제 - <심청, 연꽃의 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gnitions of Female Migrant and Hybridity in Hwang Seok-young's 『Simchung, the road of lotus』

한국문학논총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