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형

연구분야 : B160301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 지형학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2363

한자 : 微地形
영어 : microrelief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자연 제방

천안 백석동유적그룹 청동기인들의 지형인식과 주거지 입지선택 - 구릉사면의 미지형과 청동기시대 주거지와의 대응관계에 주목하여 -

Selection and Awareness of Landfom for Residential Location of People Who Lived in Cheonan Baekseokdong Relic Group in the Bronze Age - Focus on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between Micro-Landforms of the Hillslope and Bronze Age s Dwelling Site-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4 | 2010 | 기타지리학

천안 백석동유적그룹 청동기인들의 지형인식과 주거지 입지선택 - 구릉사면의 미지형과 청동기시대 주거지와의 대응관계에 주목하여 -

Selection and Awareness of Landfom for Residential Location of People Who Lived in Cheonan Baekseokdong Relic Group in the Bronze Age - Focus on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between Micro-Landforms of the Hillslope and Bronze Age s Dwelling Site-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4 | 2010 | 기타지리학

GIS분석을 이용한 천안 백석동유적그룹의 청동기시대 주거지 입지의 최적 지형환경 - 구릉사면의 미지형별 경사도에 주목하여 -

Dwelling Site of ‘cheonan Baekseokdong Relic Group' Using GIS Analysis - Paying Attention to the Gradient of Each of Micro-Landforms of Hillslope -

한국지형학회지 | 18 | 1 | 2011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