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시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경제/산업활동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2663

STNet ID : 9001229

한자 : 開市
영어 : open market

b01-03 경제/산업활동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e04-01 인위적공간 /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시장 () [ 市場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중강 개시 () [ 中江開市 ]

hasInstance (사례)

 

 

왜관 개시 () [ 倭館開市 ]

hasInstance (사례)

 

 

북관 개시 () [ 北關開市 ]

김수영의 시와 근대 극복의 한 방식 - ‘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Kim Soo-Young’ Poetry and A Way of Overcoming Modernity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상세한 설명에 의한 특허 청구항의 뒷받침

The Requisite of Patent Claim Support by Description

고려법학 | 66 | 2012 | 법학

공공기관에 대한 문서제출명령의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민사소송 | 15 | 1 | 2011 | 법학

개정상법상 회사기회유용금지규정의 검토

Usurp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Code

한양법학 | 34 | 2011 | 법해석학

複合動詞「〜出す」의 意味分析 - 韓國語 對應關係를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dasu」 of Japanese Compound Verbs' The Succeeding Ciause - In terms of correlation with Korean and analysis of meanings -

일본어문학 | 50 | 2010 | 일본어와문학

複合動詞「〜出す」의 意味分析 - 韓國語 對應關係를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dasu」 of Japanese Compound Verbs' The Succeeding Ciause - In terms of correlation with Korean and analysis of meanings -

일본어문학 | | 50 | 2010 | 일본어와문학

17~19세기 부산 왜관의 開市와 朝市

The Open Market and Morning Market of the Busan Waegwan in the 17th to 19th Centuries

한일관계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