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일본의 정치학 정체성론 연구 -과학성, 자율성, 주체성을 둘러싼 논의를 중심으로-
On the Debate of the Identity Crisis of the Japanese Political Science in Post-war Japan
일본연구논총 |
31 |
2010 |
지역학
전후 일본의 정치학 정체성론 연구 -과학성, 자율성, 주체성을 둘러싼 논의를 중심으로-
On the Debate of the Identity Crisis of the Japanese Political Science in Post-war Japan
일본연구논총 |
|
31 |
2010 |
지역학
한말 미국 유학 지식인의 서구 ‘사회과학’ 수용과 현실 인식
The Learning of Western Social Science by the Korean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Times in the late Chosen Dynasty
이화사학연구 |
44 |
2012 |
기타역사일반
서구 ‘사회과학’의 역사적 고찰 ― 사회과학과 사회학 ―
Historical Research on the Western Social Science ― Social Science and Sociology ―
이화사학연구 |
44 |
2012 |
기타역사일반
개화기 서구 입헌국가학(立憲國家學)의 수용과 국민교육: 천도교 기관지『만세보(萬世報)』를 중심으로
Acceptance of Western State Science and National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Modern Civilization: Focused on Official Journal of Cheondogyo, Newspaper Mansebo(萬世報)
교육철학연구 |
49 |
2010 |
교육학
개화기 서구 입헌국가학(立憲國家學)의 수용과 국민교육: 천도교 기관지『만세보(萬世報)』를 중심으로
Acceptance of Western State Science and National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Modern Civilization: Focused on Official Journal of Cheondogyo, Newspaper Mansebo(萬世報)
교육철학연구 |
|
49 |
2010 |
교육학
한말 신문·잡지 언설을 통해 본 근대 서양 ‘사회과학’ 수용의 역사정치적 성격 - 한국 초기 ‘사회과학’ 형성의 문제의식과 특성
The Korean Acceptance of the Western Social Sciences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aehan Empire: Its Beginnings and Historico-Political Legacy
담론201 |
15 |
2 |
2012 |
사회학
근대 ‘사회과학’의 동아시아 수용과 메이지 일본 ‘사회과학’의 특질 ― 블룬칠리 국가학 수용을 중심으로 ―
East Asia's Acceptance of Modern Social Science and Modern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Social Sciences ― with priority given to the reception of Bluntschli’s Political Thought ―
이화사학연구 |
44 |
2012 |
기타역사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