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도

연구분야 : A070100 인문학 > 유교학 > 유교철학

클래스 : 기준/규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3215

한자 : 權道

e02-03 기준/규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춘추공양전 [ 春秋公羊傳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설문해자 [ 說文解字 ]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論語』里出現的“權道”之邏輯結構和意義 -以朱熹和王夫之的觀點為中心-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論語』里出現的“權道”之邏輯結構和意義 -以朱熹和王夫之的觀點為中心-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조선의 18세기

Joseon Dynasty of the 18th Century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출처(出處) 사수관(辭受觀)

Hoejae Lee Eun-Juk's Viewpoint on Entering and Withdrawing from Public Service and on Stepping down and Accepting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출처(出處) 사수관(辭受觀)

Hoejae Lee Eun-Juk's Viewpoint on Entering and Withdrawing from Public Service and on Stepping down and Accepting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儒家 賢臣論에 대한 時中論的 理解

The comprehension of the theory of confucian wise vassal by timely characteristic

동양문화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