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강도죄

연구분야 : B130203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형법

클래스 : 위법행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3934

한자 : 準强盜罪
영어 : Quasi-robbery

b01-04 위법행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결합범 [ 結合犯 ]

hasProperty (특성/속성)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목적범 [ 目的犯 ]

S:동의

UF (비우선어)

 

 

사후강도죄 [ 事後强盜罪 ]

강도상해죄의 행위주체와 미수와 기수의 판단기준 - 준강도죄와의 비교를 통한 비판적 검토 -

The Subject and Judgmental Standard of Attempt and Completion of Robbery Resulting in a Bodily Injury - Critical Review by the Comparison with Quasi-Robbery -

형사법연구 | 22 | 4 | 2010 | 법학

강도상해죄의 행위주체와 미수와 기수의 판단기준 - 준강도죄와의 비교를 통한 비판적 검토 -

The Subject and Judgmental Standard of Attempt and Completion of Robbery Resulting in a Bodily Injury - Critical Review by the Comparison with Quasi-Robbery -

형사법연구 | 22 | 4 | 2010 | 법학

준강도죄의 주체와 기수성립 기준

Einige Probleme im objektiven Tatbestand des räuberischen Diebstahls

안암법학 | 34 | 2011 | 법학일반

준강도죄가 강도죄는 아니지 않는가?

Quasi-Robbery and its Treatment

저스티스 | 117 | 2010 | 기타법학

준강도죄가 강도죄는 아니지 않는가?

Quasi-Robbery and its Treatment

저스티스 | | 117 | 2010 | 기타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