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성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4008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문어성 [ 文語性 ]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비언어 텍스트에 대한 개념적 고찰 : Ong의 구술성과 문자성을 넘어서

New Perspectives of Non-verbal Text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Beyond Ong's Orality and Literacy

아시아교육연구 | 11 | 4 | 2010 | 교육학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비언어 텍스트에 대한 개념적 고찰 : Ong의 구술성과 문자성을 넘어서

New Perspectives of Non-verbal Text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Beyond Ong's Orality and Literacy

아시아교육연구 | 11 | 4 | 2010 | 교육학

지역어 자원의 문화 콘텐츠화를 위한 방안

A suggestion for developing regional dialect as cultural contents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역어 자원의 문화 콘텐츠화를 위한 방안

A suggestion for developing regional dialect as cultural contents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발터 벤야민의 영화 매체 이해와 알레고리

Film und Allegorie bei Walter Benjamin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4 | 2011 | 독일어와문학

제3의 구술성: ‘뉴 뉴미디어’ 시대 말의 현존 및 이용 양식

Tertiary Orality: The Presence of the Word in the Age of ‘New New Media’

언론정보연구 | 47 | 1 | 2010 | 신문방송학

제3의 구술성: ‘뉴 뉴미디어’ 시대 말의 현존 및 이용 양식

Tertiary Orality: The Presence of the Word in the Age of ‘New New Media’

언론정보연구 | 47 | 1 | 2010 | 신문방송학

제주문학의 글로컬리티, 그 미적 정치성 ― 제주어의 구술성과 문자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Jeju Literature's Glocality, Its Aesthetic Politics : focus on interactions between the orality of jeju and the literacy of text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튀빙겐 학파의 플라톤 초기 대화편 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Eine kritische Überprüfung vom Verständnis der Tübinger Schule für Frühdialoge Platons

철학논총 | 65 | 3 | 2011 | 철학

문자성과 구어성의 통합과 공감각적 서사로서의 텍스트

Synthesis of Literacy and Orality and Text as Synesthetic Narrative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문자성과 구어성의 통합과 공감각적 서사로서의 텍스트

Synthesis of Literacy and Orality and Text as Synesthetic Narrative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