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면제제도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경제경영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4165

한자 : 勤勞時間免除制度

d02-03 경제경영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타임오프제도 [ --制度 ]

UF (비우선어)

 

 

근로시간면제 [ 勤勞時間免除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근로시간 면제 한도 () [ 勤勞時間免除限度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노조 전임자 [ 勞組 前任者 ]

노사관계로드맵 17년의 평가와 전망

The evaluation and prospect on the past 17 years’ Road Map of labor relations in Korea

노동법학 | 39 | 2011 | 노동법

노조전임자와 복수노조와 관련한 노조법 개정과 그 패러다임 전환

労働組合の在籍専従者と複数労働組合と関連した労組法の改正とそのパラダイムの転換

강원법학 | 30 | 2010 | 기타법학

노조전임자와 복수노조와 관련한 노조법 개정과 그 패러다임 전환

労働組合の在籍専従者と複数労働組合と関連した労組法の改正とそのパラダイムの転換

강원법학 | 30 | | 2010 | 기타법학

복수노조제도 시행 이후 노사정 대응전략의 문제점 및 시사점

Problems and Suggestions of Tripartite(Labor, Management and Government) Counter-strategy after Introduction of Multiple Labor Union System

산업관계연구 | 22 | 3 | 2012 | 경영학

근로시간면제(Time-off)제도의 법리와 운영방향

A Study on the Legal Analysis of Korean Time-off System

법학논총 | 30 | 2 | 2010 | 법학

근로시간면제(Time-off)제도의 법리와 운영방향

A Study on the Legal Analysis of Korean Time-off System

법학논총 | 30 | 2 | 2010 | 법학

노조법상 근로시간면제제도 시행 이후의 법리적 쟁점

The Legal Issues of Time-off System after Enforcement of New TULRAA

법과정책연구 | 11 | 4 | 2011 | 법학

근로시간면제제도의 평가와 실천적 과제

The Evaluation and Practical Issues on the Time-off System

경영법률 | 20 | 4 | 2010 | 법학

근로시간면제제도의 평가와 실천적 과제

The Evaluation and Practical Issues on the Time-off System

경영법률 | 20 | 4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