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교

연구분야 : A040400 인문학 > 종교학 > 종교사회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5046

한자 : 無敎
영어 : irreligion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무신론 [ 無神論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종교 () [ 宗敎 ]

조선 후기 무교(巫敎)가천주교 수용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Shamanism in Accepting Catholic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신학전망 | 175 | 2011 | 기타가톨릭신학

무교(巫敎)와 천주교 종교 의례의 상호 소통 구조에 대한 고찰: 조선 후기의 접촉을 중심으로

A study of connection factor in the ritual of Shamanism and Catholicism: Focusing contact in the late Chosun Dynasty

신학전망 | 177 | 2012 | 기타가톨릭신학

고려시대 巫敎의 自然觀과 그 추이- ‘移風易俗’의 논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ew of Nature and Its progress in Korean Shamanism(巫敎) during the Goryo Dynasty

동방학지 | 154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