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술관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인간(지위/벼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5149

한자 : 製述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승문원 [ 承文院 ]

1682년 한일 문사 교류 담당층의 확립과 소통의 확대

About Establishing the Class of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1682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1682년 한일 문사 교류 담당층의 확립과 소통의 확대

About Establishing the Class of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1682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密陽 表忠寺 소장 <泗溟大師日本上陸行列圖八曲屛> 연구

A Study on “The Eight-Leaved-Screen Painting of Samyeongdang Envoy Group's Disembarkation Scene in Japan” Housed at Pyochungsa in Milyang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密陽 表忠寺 소장 <泗溟大師日本上陸行列圖八曲屛> 연구

A Study on “The Eight-Leaved-Screen Painting of Samyeongdang Envoy Group's Disembarkation Scene in Japan” Housed at Pyochungsa in Milyang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筆談과 唱和의 同異性 고찰 -일본 사행기를 중심으로-

An inquiry in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ildam and Changhwa -focusing on Japanese envoy's remarks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

筆談과 唱和의 同異性 고찰 -일본 사행기를 중심으로-

An inquiry in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ildam and Changhwa -focusing on Japanese envoy's remarks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