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고파

연구분야 : A120200 인문학 > 중국어와문학 > 중문학
A020304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근세사(명청)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5271

한자 : 復古派
영어 : advocate of reaction

y06-03 학파/종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명대 문학 [ 明代文學 ]

R1:개념적

hasPatient (대상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전칠자 [ 前七子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공안파 [ 公安派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가정문학

李再榮과 『秇苑詩話』

Lee, Jae-Young and his critical essay on poetry『Yewonsihwa(秇苑詩話)』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李再榮과 『秇苑詩話』

Lee, Jae-Young and his critical essay on poetry『Yewonsihwa(秇苑詩話)』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澤堂 李植과 17세기 초 문단

Taekdang Yi Sik and Literary Circles in the Early 17th Century

동방한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宣祖 연간 文風의 변화와 壽序

Change of the writing style within the Seonjo(宣祖) period and Su-Seo(壽序: an celebratory writings for longevity)

동방한문학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