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의

연구분야 : A1104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 한문교육
A120100 인문학 > 중국어와문학 > 중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7996

한자 : 音義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어음 [bill]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표음 문자 [ 表音文字 ]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A study on publishing process and format change for editions of JaJeonSeokYo(字典釋要)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A study on publishing process and format change for editions of JaJeonSeokYo(字典釋要)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A study on publishing process and format change for editions of JaJeonSeokYo(字典釋要)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A study on publishing process and format change for editions of JaJeonSeokYo(字典釋要)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再雕本 『華嚴經』에 附載된 卷末 音義의 起源

On the Origin of the Phonological Glossary (音義) appended to the Avataṃsaka-sūtra (華嚴經) in the Second-Edition Tripitaka Koreana (再彫大藏經)

진단학보 | 109 | 2010 | 역사학

再雕本 『華嚴經』에 附載된 卷末 音義의 起源

On the Origin of the Phonological Glossary (音義) appended to the Avataṃsaka-sūtra (華嚴經) in the Second-Edition Tripitaka Koreana (再彫大藏經)

진단학보 | | 109 | 2010 | 역사학

≪老乞大≫ㆍ≪朴通事≫를 위한 어휘사전 ≪音義≫에 대한 고찰

Yinyi(≪音義≫): The Lexicon for Laoqida(≪老乞大≫) and Piaotongshi (≪朴通事≫)

중국어문논총 | 53 | 2012 | 중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