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자

연구분야 : A020106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문화사(역사학)

클래스 : 도구/수단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8473

한자 : 活字
영어 : printing type

a04-06 도구/수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영문 활자 ()

hasKind (종류)

 

 

국문 활자 ()

hasKind (종류)

 

 

한문 활자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활자 자형 () [ 活字字形 ]

활동사진처럼, 열녀전처럼―축음기ㆍ(활동)사진ㆍ총, 그리고활자; ‘『무정』의밤’이 던진 문제들

Like a motion picture, Like the Lives of Virtuous Women -the issues emerging with Mujŏng(The Heartless): Gramophone, (Motion) pictures, Gun and typography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활동사진처럼, 열녀전처럼―축음기ㆍ(활동)사진ㆍ총, 그리고활자; ‘『무정』의밤’이 던진 문제들

Like a motion picture, Like the Lives of Virtuous Women -the issues emerging with Mujŏng(The Heartless): Gramophone, (Motion) pictures, Gun and typography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東醫寶鑑』 初刊本과 한글본 『동의보감』의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東醫寶鑑) and the Korean Edition of Donguibogam

藏書閣 | 24 | 2010 | 역사학

『東醫寶鑑』 初刊本과 한글본 『동의보감』의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東醫寶鑑) and the Korean Edition of Donguibogam

藏書閣 | | 24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族譜의 인쇄문화사적 접근

A Printing Culture History-Based Approach toward the Genealogy of the Latter Half of Joseon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

재료와 태도의 의미 확장을 통한 타이포그라피의 재인식

The New Understanding of Typography through the Extension of Materials and Attitudes

디자인학연구 | 23 | 4 | 2010 | 디자인

재료와 태도의 의미 확장을 통한 타이포그라피의 재인식

The New Understanding of Typography through the Extension of Materials and Attitudes

디자인학연구 | 23 | 4 | 2010 |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