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장장이의 역사와 현대적 의미
History and Modern Meanings of Korean Blacksmith
역사와경계 |
78 |
2011 |
역사학
문화변동에 따른 한중일 무당의 현실적응 비교
Comparison of Shamans of Korea, China, and Japan according to Culture Change
비교민속학 |
45 |
2011 |
역사학
남사당 덧뵈기 재담의 변화 양상
The Aspects of Changes in Witty Remarks from Namsadang Deotboegi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한국 신무용 개념 정위(定位) 과정에서의 논제
The Argument to establish definition of the Newly Arts Dance
무용예술학연구 |
31 |
31 |
2010 |
무용
한국 신무용 개념 정위(定位) 과정에서의 논제
The Argument to establish definition of the Newly Arts Dance
무용예술학연구 |
31 |
31 |
2010 |
무용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존재 양상과 향후 전망-대구․경북 지방을 중심으로-
The Existence Patterns and Future Prospects of Folk Plays in Modern Seasonal Customs-Focused o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존재 양상과 향후 전망-대구․경북 지방을 중심으로-
The Existence Patterns and Future Prospects of Folk Plays in Modern Seasonal Customs-Focused o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봉화 신흥마을 유기의 현대화와 생산방식 변화
Modernization and the Changes in the Production Method of Brassware at Sinheung Village in Bonghwa
실천민속학 연구 |
16 |
2010 |
역사학
봉화 신흥마을 유기의 현대화와 생산방식 변화
Modernization and the Changes in the Production Method of Brassware at Sinheung Village in Bonghwa
실천민속학 연구 |
16 |
|
2010 |
역사학
고싸움놀이의 문화재 지정과 축제화, 재맥락화
Gossaumnori and Its Registration as Cultural Heritage, Festivaliz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문화재보호법과 전통무예진흥법의 무예진흥에 관한 법제도적 소고
Th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Law and the Traditional Martial Arts Promotion Law: A Legal Analysis for Promotion of Martial Arts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4 |
2 |
2011 |
사회과학
탈근대기 무형문화재 정책과 민속 문화의 정치학: 가산오광대의 ‘복원’과 창출에 대한 자전적 민족지적 접근
Reflections on the Policy of Invis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Politics of Folklore in Postmodern Times: A Autoethnography of ‘Reconstruction of Gasanogwangdae (駕山五廣大)
비교문화연구 |
16 |
2 |
2010 |
인류학
탈근대기 무형문화재 정책과 민속 문화의 정치학: 가산오광대의 ‘복원’과 창출에 대한 자전적 민족지적 접근
Reflections on the Policy of Invis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Politics of Folklore in Postmodern Times: A Autoethnography of ‘Reconstruction of Gasanogwangdae (駕山五廣大)
비교문화연구 |
16 |
2 |
2010 |
인류학
한국 전통춤 전승과 보존에 관한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offering options about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한국무용연구 |
28 |
2 |
2010 |
기타무용
한국 전통춤 전승과 보존에 관한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offering options about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한국무용연구 |
28 |
2 |
2010 |
기타무용
무속 관련 무형문화재 제도의 의의와 한계-무속에 대한 시각을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e Important Intangible Assets about Korean Shamanism-In Relation to the Viewpoints on Korean Shamanism-
비교민속학 |
45 |
2011 |
역사학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경력형성 과정 탐색
Analyzing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Task for Holders of Intangible Culture Properties
HRD연구 |
13 |
4 |
2011 |
평생교육
무형문화재 매체별 기록방법
Study on the Method of Editing and Records of Typ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인문콘텐츠 |
19 |
2010 |
기타인문학
무형문화재 매체별 기록방법
Study on the Method of Editing and Records of Typ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인문콘텐츠 |
|
19 |
2010 |
기타인문학
무형문화재의 영상민속지 기록화 작업의 특징과 문제점-중요무형문화재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영상민속지 작업을 중심으로-
The Properties and Problems of the Process of Recording Visual Ethnographie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무형문화재의 영상민속지 기록화 작업의 특징과 문제점-중요무형문화재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영상민속지 작업을 중심으로-
The Properties and Problems of the Process of Recording Visual Ethnographie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
지방자치단체가 무형유산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 외고산 옹기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Local Government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mmunity - Focused on Oegosan Onggi Village-
문화재 |
44 |
4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