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연구분야 : B101102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북한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8

STNet ID : 9007410

한자 : 鏡城
동의어(UF) : 경성군(鏡城郡)

x01-03 도시/구/동명

위치

함경북도 (咸鏡北道)

면적_t

1171

인구_t

105909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1920년대 수학여행의 실태와 사회적 인식

The realities of a school trip in 1920s and Social recognitio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도시 매체와 인력거- 인력거를 따라 근대 도시의 풍경선 둘러보기 -

Urban Media and Rickshaw: Looking around the Lines of Modern Urban Landscapes

중국어문학 | 59 | 2012 | 중국어와문학

「모란봉」에 나타난 근대 도시의 표상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Modern City Represented of Mo Ran Bong

국어문학 | 50 | 50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도시와 근대성의 영화적 재현 ― 기록영화 <경성>과 식민권력의 자기재현

Cinematic Representation of a Colonial City and its Modernity ― Documentary Film Keijō(Seoul) and the Self-representation of Colonial Power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2 | 2011 | 사회학

근대 일본 작가들의 조선표상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近代の日本作家たちの朝鮮表象 ─1910年代から1940年代まで─

일본문화연구 | 35 | 2010 | 일본어와문학

근대 일본 작가들의 조선표상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近代の日本作家たちの朝鮮表象 ─1910年代から1940年代まで─

일본문화연구 | | 35 | 2010 | 일본어와문학

‘조선호텔’ - 제국의 이상과 식민지 조선의 표상

‘Chosun Hotel’ - Imperial Japan's Ideal and Colonial Korea's Representation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호텔’ - 제국의 이상과 식민지 조선의 표상

‘Chosun Hotel’ - Imperial Japan's Ideal and Colonial Korea's Representation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내성 번안 추리소설에 나타난 공간의식 연구: 아서 코난 도일의 원작 속 공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perception in Nae-Seong Kim's detective novel adaptatio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space in respect of Arthur Conan Doyle's original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어트렉션의 몽타주와 모더니티

Modernity of the Revues and Musical Plays in Late 1920s of Korea

한국극예술연구 | 32 | 2010 | 예술체육학

어트렉션의 몽타주와 모더니티

Modernity of the Revues and Musical Plays in Late 1920s of Korea

한국극예술연구 | | 32 | 2010 | 예술체육학

히노 게이조(日野啓三)와 조선 · 한국

Hino Keizo and Korea

일본어문학 | 54 | 2011 | 일본어와문학

히노 게이조(日野啓三)와 조선 · 한국

Hino Keizo and Korea

일본어문학 | 54 | 2011 | 일본어와문학

‘경성’의 일본인 사회와 자녀교육 - 통감부 시기와 1910년대를 중심으로 -

Japanese settlers and their education in colonial Seoul From 1880’s to 1910’s

서울학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개항∼일제강점 초기 경성의 재조선 일본인 교육기관과 경성학교조합 설립

Establishment of Japanes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Kyeongseong-Hakgyojohap ("School Union") in Seoul from 1876 to 1914.

서울과 역사 | 79 | 2011 | 역사학

만주, 디아스포라 윤동주의 고향

Manchuria and Homeland-Consciousness of Yun Dong-Ju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만주, 디아스포라 윤동주의 고향

Manchuria and Homeland-Consciousness of Yun Dong-Ju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의 ‘광화문(통)’, 소멸과 신생의 거리 -「遊覽버스」, 「光化門通」, 「除夜」에 나타난 경성 인식을 중심으로-

Kim Gi-rim's ‘Gwanghwamun(tong)', the street of extinction and creation. - Focusing on his perception of Gyeongseong on 「Yuram Bus」, 「Gwanghwamuntong」, and 「Jeya」 -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도시, 미로(迷路)에 대한 오랜 꿈의 실현과 좌절 ― 김내성 장편 탐정소설 <마인>을 중심으로

Modern City,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a long dream on maze - Focusing on the detective novel of Kim Nae-Seong, <Ma-In>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도시, 미로(迷路)에 대한 오랜 꿈의 실현과 좌절 ― 김내성 장편 탐정소설 <마인>을 중심으로

Modern City,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a long dream on maze - Focusing on the detective novel of Kim Nae-Seong, <Ma-In>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초 시가에 나타난‘한양’과 ‘경성’의 공간인식과 그 의미

The Space Recognition and Meaning of ‘Hanyang’ and ‘Kyungsung’ in Poetry in the early 20th Centuries

서울학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 시가에 나타난‘한양’과 ‘경성’의 공간인식과 그 의미

The Space Recognition and Meaning of ‘Hanyang’ and ‘Kyungsung’ in Poetry in the early 20th Centuries

서울학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横光利一における韓国 ―「旅心」から「内鮮一体」へ―

The image of Korea in RiichiYokomitsu’s literature

일어일문학연구 | 74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横光利一における韓国 ―「旅心」から「内鮮一体」へ―

The image of Korea in RiichiYokomitsu’s literature

일어일문학연구 | 74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20세기 초 시가에 나타난‘한양’과 ‘경성’의 공간인식과 그 의미

The Space Recognition and Meaning of ‘Hanyang’ and ‘Kyungsung’ in Poetry in the early 20th Centuries

서울학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 시가에 나타난‘한양’과 ‘경성’의 공간인식과 그 의미

The Space Recognition and Meaning of ‘Hanyang’ and ‘Kyungsung’ in Poetry in the early 20th Centuries

서울학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 영등포의 도시 변화 및 위상

The Urban Transformation and Status of Yeong-deung-po in Early 20c

서울학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植民地下「京城」·カフェーをめぐる欺瞞と覚醒-金聖珉『恵蓮物語』

日本語文學 | 1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1910년대 京城 영화관들의 활동 양상

A Study on the activity aspect of movie theaters of 1910’s Gyeong-seong

한국문화 | 53 | 2011 | 기타인문학

해방 후 본토로 돌아간 일본인의 경성 인식 - 경성 태생 요시오카 마리코(吉岡万里子)의 사례를 중심으로 -

敗戦の後日本に引揚た日本人の 「京城」 認識 - 京城で生まれた吉岡万里子の事例を中心に -

서울과 역사 | 79 | 2011 | 역사학

재조일본인의 ‘재경성(在京城) 의식’과 ‘경성’ 표상 -‘한일합방’ 전후시기를 중심으로-

‘Zaikeijo(在京城) consciousness’ and ‘Keijo’ representation in Japanese residents in Chosen(Korea) - Centering o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Chosen-Japan annexation’ -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조일본인의 ‘재경성(在京城) 의식’과 ‘경성’ 표상 -‘한일합방’ 전후시기를 중심으로-

‘Zaikeijo(在京城) consciousness’ and ‘Keijo’ representation in Japanese residents in Chosen(Korea) - Centering o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Chosen-Japan annexation’ -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시기 경성지역 여관업의 변화와 성격

The change and character of the inn business in Keijo(京城) under the Japanese Rule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일제시기 경성지역 여관업의 변화와 성격

The change and character of the inn business in Keijo(京城) under the Japanese Rule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식민도시 京城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ssessment on the colonial duality of Kyungsung(Keijō)

서울학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도시 京城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ssessment on the colonial duality of Kyungsung(Keijō)

서울학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1920~30년대 경성의 근대 건축활동에 관한 기초 연구 - [朝鮮と建築]의 잡보기사를 중심으로 -

A Primary Study on the Architectural Activities of Seoul in Modern Times

서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기‘경성(京城)’의 문화지정학적 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Geopolitical Topology of ‘Keijo(京城)’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서울학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기‘경성(京城)’의 문화지정학적 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Geopolitical Topology of ‘Keijo(京城)’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서울학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기‘경성(京城)’의 문화지정학적 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Geopolitical Topology of ‘Keijo(京城)’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서울학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기‘경성(京城)’의 문화지정학적 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Geopolitical Topology of ‘Keijo(京城)’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서울학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개항기 및 식민지 초기 도시 경험의 내면화 과정

Internalization of Urban Experience in Koreanb Flowering Stage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서울학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개항기 및 식민지 초기 도시 경험의 내면화 과정

Internalization of Urban Experience in Koreanb Flowering Stage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서울학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1920~30년대 경성의 근대 건축활동에 관한 기초 연구 - [朝鮮と建築]의 잡보기사를 중심으로 -

A Primary Study on the Architectural Activities of Seoul in Modern Times

서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 京城 內 遊廓地帶의 형성과 동부지역 도시화 -1904년~1945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on of Licensed Quarters in Gyeongseong during Modern Times and the Urbanization in the East Area -Focused on the years of 1904 till 1945-

역사와경계 | 82 | 2012 | 역사학

일제시기 경성지역 여관업의 변화와 성격

The change and character of the inn business in Keijo(京城) under the Japanese Rule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일제시기 경성지역 여관업의 변화와 성격

The change and character of the inn business in Keijo(京城) under the Japanese Rule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식민도시 京城의 유곽공간 형성과 근대적 관리

The Formation and Modern Regulation of Yukwak in the Colonial City of Keijo

문화역사지리 | 23 | 1 | 2011 | 인문지리학

식민권력과 광장공간: 일제하 서울시내 광장의 형성과 활용

Colonial Power and the Square Space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0 | 2011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