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의 무애무 재현에 대하여 ― 김천흥과 이흥구의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on Muaemu Representation by National Gugak Center ― Focusing on Roles of Kim Cheon-heung and Lee Heung-gu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의궤의 정재도(呈才圖) 기록현황과 제작배경
The background of making jeongjaedo and current status of jeongjaedo through Uigwe in the Late Chosun Dynasty
무용예술학연구 |
37 |
37 |
2012 |
무용
耽羅巡歷圖의 정재공연과 주악 장면
Scenes of Court Dance and Musical Performance in the Painting Album of Tamna-sullyeok-do(耽羅巡歷圖)
藏書閣 |
26 |
2011 |
역사학
의지자유론의 기초적 이해 -하르트만을 중심으로-
Basic understanding on the theory of free-will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
정재의 가무악(歌舞樂) 요소에 담긴 상징과 비유 I : 헌선도
A symbol and Metaphor included in the Songs, Dances, and Music of JeongjaeⅠ:「 Hyunsundo」
무용예술학연구 |
32 |
32 |
2011 |
무용
대한제국기 연향에서 정재 준비와 공연의 변모
The Changes on the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Chŏngjae during the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45 |
2010 |
음악학
대한제국기 연향에서 정재 준비와 공연의 변모
The Changes on the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Chŏngjae during the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
45 |
2010 |
음악학
조선시대 지방 교방 춤 종목 연구
A Study on Types of Local Gyobang Dance in the Joseon Period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