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권

연구분야 : B020204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사상 > 정치철학

클래스 :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8088

한자 : 市民權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유럽 시민권 [ --市民權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유럽연합 시민권 () [ --聯合市民權 ]

hasKind (종류)

 

C01 특성(성질) 특성(성질)

경제적 시민권 [ 經濟的市民權 ]

hasKind (종류)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기업 시민권 [ 企業市民權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인디언 시민권법 [ --市民權法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국가성 전환 [ 國家性轉換 ]

1970년대 하위주체와 합법적 폭력의 문제-최인호의 「미개인」과 「예행연습」을 중심으로

The Subalterns and the Legal Violences of Korean Society in 1970s —focusing on Choi Inho's Novels, "The Savage" and "A Rehearsal"—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도쿄 도시레짐과 에다가와조선학교의 역사

The History of Tokyo Urban Regime and Edagawa Korean School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5 | 2010 | 사회학

도쿄 도시레짐과 에다가와조선학교의 역사

The History of Tokyo Urban Regime and Edagawa Korean School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5 | 2010 | 사회학

박정희정권하 사회개발 전략과 쟁점

The Strategies of Social Development during the Pak Chŏnghŭi Government and Related Conflicts

韓國史學報 | 38 | 2010 | 역사학

박정희정권하 사회개발 전략과 쟁점

The Strategies of Social Development during the Pak Chŏnghŭi Government and Related Conflicts

韓國史學報 | | 38 | 2010 | 역사학

기본소득 구상의 기독교윤리적 평가

Evaluating the Concept of Basic Income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신학사상 | 150 | 2010 | 기독교신학

기본소득 구상의 기독교윤리적 평가

Evaluating the Concept of Basic Income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신학사상 | | 150 | 2010 | 기독교신학

적대의 지구화와 정치의 조건들 - 무페와 발리바르의 시민권, 공동체 이론 -

The globalization of antagonism and conditions for politics:citizenship/community theory of Chantal Mouffe and Étienne Balibar

철학논집 | 28 | 2012 | 철학

명예살인을 둘러싼 스웨덴의 논쟁과 정책적 대응

The Debates on Honor Killings in Sweden and Its Policy Responses

국제정치논총 | 51 | 2 | 2011 | 정치외교학

신공공서비스론의 관점에서 경찰서비스의 개혁방안

Ways of Police Reforms in the Point of New Public Service Management Theory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19 | 4 | 2010 | 행정학

주권과 인민주권: 라캉과 함께 아감벤을

Sovereignty and Popular sovereignty: G. Agamben with J. Lacan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19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죤 듀이의 사회 정의론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A Christian Ethical Reflection on John Dewey's Understanding of Social Justice

신학사상 | 153 | 2011 | 기독교신학

민주주의와 소수자

A Research on the Democracy and Minority

사회와 철학 | 19 | 2010 | 철학일반

민주주의와 소수자

A Research on the Democracy and Minority

사회와 철학 | | 19 | 2010 | 철학일반

John Locke and the Politics of Semantic Virtue

존 로크와 의미론적 가치의 정치

정치사상연구 | 18 | 1 | 2012 | 정치외교학

‘연대’ 개념의 역사적 맥락과 현대적 의미 -Solidarity: Its History and Possibilities-

Solidarity: Its History and Possibilities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연대’ 개념의 역사적 맥락과 현대적 의미 -Solidarity: Its History and Possibilities-

Solidarity: Its History and Possibilities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롤즈의 인권 개념에 대한 고찰

An Inquiry into the Concept of Human Rights of J. Rawls

윤리교육연구 | 26 | 2011 | 윤리교육학

헌법발전의 문제로서 복수국적의 헌법적 정당화

Constitutional Justification of Multiple Nationality as a Matter of Constitutional Development

동아법학 | 55 | 2012 | 법학

내셔널리즘의 딜레마

The Dilemmas of Nationalism

역사비평 | 99 | 2012 | 역사학

사회과 법교육에서 인권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한ㆍ미 법교육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Law-Related Education - Focused on the Analysis of Korean and American Law-Related Education Textbook -

법교육연구 | 6 | 2 | 2011 | 기타교육학

독일과 네덜란드의 이주민 정치적 통합정책 비교: 외국인의 지방참정권 확대정책을 중심으로

Policies between Germany and the Netherlands: Focusing on the extension of Local Voting Rights to Resident Aliens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독일과 네덜란드의 이주민 정치적 통합정책 비교: 외국인의 지방참정권 확대정책을 중심으로

Policies between Germany and the Netherlands: Focusing on the extension of Local Voting Rights to Resident Aliens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홍익인간의 현대적 재해석 -생명정치, 공적 공간의 복원과 시티즌십, 그리고 Good Governance-

Modern Reinterpretation of Hong-Ik-In-Gan -Bio-politics, Restoration of the Public Sphere, Citizenship and Good Governance-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아시아 스포츠 셀러브리티 생각하기: 전지구화와 이동성-시민권-정체성의 맥락에서

Sports Celebrity in Asia: Mobility, Citizenship and Identity in the Age of Globalization

언론과 사회 | 19 | 1 | 2011 | 신문방송학

EU 사회정책의 역내 시민에 대한 객관적 적용과 다원주의 정책 심화

An objective application of the EU social policy for its community citizens and deepening of the pluralist policy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3 | 2010 | 지역학

EU 사회정책의 역내 시민에 대한 객관적 적용과 다원주의 정책 심화

An objective application of the EU social policy for its community citizens and deepening of the pluralist policy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3 | 2010 | 지역학

출입국관리 관련 통합법전 모델의 모색 - UK와 프랑스의 이민법을 참고하여 -

A Model for a Unified Code of Immigration Laws- Reference to the Legal System of UK and France -

법과정책연구 | 12 | 1 | 2012 | 법학

하버마스의 인권 개념에 관하여

On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n Habermas’s legal and political theory

법철학연구 | 14 | 2 | 2011 | 법학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 논의의 쟁점과 한국적 함의

Korean implication and debate on Ecological Citizenship

ECO | 14 | 1 | 2010 | 환경사회학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 논의의 쟁점과 한국적 함의

Korean implication and debate on Ecological Citizenship

ECO | 14 | 1 | 2010 | 환경사회학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목표 체계 구성

Establishing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시민교육연구 | 43 | 3 | 2011 | 교육학

언론 운동으로서 광고기업불매 운동의 특성에 관한 소고

A Review on Boycotting Advertiser as a Movement of Media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16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언론 운동으로서 광고기업불매 운동의 특성에 관한 소고

A Review on Boycotting Advertiser as a Movement of Media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 16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선거권의 확대: 세계화시대 민족주의를 넘어서 시민권으로

Expansion of Voting Right : Beyond Nationalism in the Globalization Era

사회이론 | 40 | 2011 | 사회학

복수국적자의 공무담임권 제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mitation of the Right to Take a Public Office of Multiple National

법학논총 | 19 | 2 | 2012 | 비교법학

개정 국적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일감법학 | 19 | 2011 | 기타법학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eign Workers and Citizenship in Korea and Germany

한국과 독일의 외국인 노동자와 시민권 비교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4 | 2010 | 지역학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eign Workers and Citizenship in Korea and Germany

한국과 독일의 외국인 노동자와 시민권 비교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4 | 2010 | 지역학

문화적 시민권과 문화연구의 만남에 대한 모색: 공·사 영역의 이분법 극복과 연대의 가능성을 위하여

Cultural citizenship in cultural studies: Reconsidering public/private spheres and social solidarity

언론과 사회 | 18 | 2 | 2010 | 신문방송학

문화적 시민권과 문화연구의 만남에 대한 모색: 공·사 영역의 이분법 극복과 연대의 가능성을 위하여

Cultural citizenship in cultural studies: Reconsidering public/private spheres and social solidarity

언론과 사회 | 18 | 2 | 2010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