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8609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NT (하위어)

 

 

예상 접근로 [ 豫想接近路 ]

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 그리고 귀환의 서사

The Heroine's Way of Life: From Wandering on the Road to Returning Home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 그리고 귀환의 서사

The Heroine's Way of Life: From Wandering on the Road to Returning Home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언론의 특정 지역공간 담론화에 대한 분석 -‘제주올레’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mass media discourse of a certain regional place: -Jeju Olle trails-

탐라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언론의 특정 지역공간 담론화에 대한 분석 -‘제주올레’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mass media discourse of a certain regional place: -Jeju Olle trails-

탐라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율리유곡>에 나타난 귀향 의식의 문학적 형상

On the consciousness of going home of "Yulliyugok"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손창섭 소설의 외부성 -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

Exteriority in novels by Son Changseob Centering on full-length novels

한국문화 | 58 | 2012 | 기타인문학

귀향(歸鄕)

Die Heimkunft

범한철학 | 64 | 1 | 2012 | 철학

이주홍 동화의 신화·원형적 연구

A mythological and archetypal study on Ju Hong Lee’s fairy tales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홍석주의 지리적 상상력: ‘노정표’ 만드는 사람

Hong Suk-ju(洪奭周)'s spatial imagination represented in his geographical works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홍석주의 지리적 상상력: ‘노정표’ 만드는 사람

Hong Suk-ju(洪奭周)'s spatial imagination represented in his geographical works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길”의 메타포들-하이데거와 장자의 경우-

Die Metapher des Weges bei Heidegger und Zhuangzi

철학연구 | 39 | 2010 | 철학

“길”의 메타포들-하이데거와 장자의 경우-

Die Metapher des Weges bei Heidegger und Zhuangzi

철학연구 | | 39 | 2010 | 철학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길과 향가에 대한 고고민속학시론

Study on the Road and HyangGa-Archeological Folklore about play and travel-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길과 향가에 대한 고고민속학시론

Study on the Road and HyangGa-Archeological Folklore about play and travel-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콤플렉스 코드로 보는 도성과 국경의 길목-『海遊錄』, 『頤齋亂藁』, 『熱河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ateway Complex in the Border of State or Capital City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명’과 ‘길’로 읽는 근대도시 대전의 형성과 변천 - 일제강점기와 그 전ㆍ후 시기를 중심으로 -

Reading 'Daejeon' as a Modern City through Place Names and Road Networks

국토지리학회지 | 45 | 3 | 2011 | 지리학

Фразеологизмы с компонентом слова "дорога" по сравнению с корейским языком: Употребление понятия "дорога" в Сибири

어휘 ‘길’을 포함하는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성구표현 비교연구: 시베리아에서의 ‘길’ 개념을 포함하여

한국 시베리아연구 | 15 | 1 | 2011 | 러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