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향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8783

한자 : 理想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유토피아 () [utopia]

R1:개념적

RT (관련어)

 

 

도원경 () [ 桃源境 ]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

Yongnam Sunbi's Gugok Management & Chae Nam-bok's Backryen-seosa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

Yongnam Sunbi's Gugok Management & Chae Nam-bok's Backryen-seosa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21세기 사회문화적 상황과 고전문학 연구의 과제-자본과 욕망의 시대, 존재와 가치의 근원으로-

Problems of Sociocultural Situation and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n the 21^st Century -From the capital and desire to the root of human existence and value-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최부 『표해록』에 나타난 이념과 의미 및 강남 이미지

On the Conceptual System and Image of Area South of the Yangtze River in Pyohaerok Written by Choi-bu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소설 <페미토피아>에서 추구하는 이상향

Utopia Pursued in Novel Femitopia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설 <페미토피아>에서 추구하는 이상향

Utopia Pursued in Novel Femitopia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詩에 投影된 知識人의 靑鶴洞 認識 硏究

A Study on Intelligent People's Recognition of Cheonghakdong Reflected on 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漢詩에 投影된 知識人의 靑鶴洞 認識 硏究

A Study on Intelligent People's Recognition of Cheonghakdong Reflected on 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南冥學硏究 | | 30 | 2010 | 철학

하이쯔(海子)와 기형도(奇亨度)의 시적 세계관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i Hyeong Do and Haizi's Poetry

아시아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하이쯔(海子)와 기형도(奇亨度)의 시적 세계관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i Hyeong Do and Haizi's Poetry

아시아문화연구 | 18 |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시에 나타난 꿈, 그 형상화의 의미

The Dream in Toegye's Poems and the Meaning of Its Shaping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시에 나타난 꿈, 그 형상화의 의미

The Dream in Toegye's Poems and the Meaning of Its Shaping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이어도에 관한 제주도 주민들의 이미지

The Ieodo image of the Cheju islanders

탐라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

타자의 서사, 타자화의 서사, <홍길동전>

A Narrative of Other and a Narrative of Subjugation in Honggildong-jeon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타자의 서사, 타자화의 서사, <홍길동전>

A Narrative of Other and a Narrative of Subjugation in Honggildong-jeon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松江 漢詩의 理想鄕 모티프 酒․夢․鶴 硏究

A Study on the Motifs of Ideal Place including Alcohol, Dream and Crane in Songgang's Hansi

한국시가문화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무릉도원도(武陵桃源圖)의 표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Land of Peach Blossoms (Tao Hua Yuan) in Korean Contemporary Art

기초조형학연구 | 12 | 6 | 2011 | 예술일반

장소 정체성의 사회적 재구성 : 지리산 청학동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Place Identity's Change of Cheonghak-dong Utopia at Jiri Mountain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장소 정체성의 사회적 재구성 : 지리산 청학동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Place Identity's Change of Cheonghak-dong Utopia at Jiri Mountain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