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

연구분야 : A110108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국어사

클래스 : 변천/과정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09

STNet ID : 1000165

한자 : 國語史

b02-04 변천/과정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국어 역사 [ 國語歷史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언어사 [ 言語史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방언사 [ 方言史 ]

hasBranch (분기/분과)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국어 생활사 [ 國語生活史 ]

hasBranch (분기/분과)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법사 [ 文法史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2 각국어 각국어

한국어 () [ 韓國語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국어사 교육 () [ 國語史敎育 ]

RT (관련어)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국어학사 [ 國語學史 ]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국어사적 고찰

A Study on Dongguksinsoksamganghangsildo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국어사적 고찰

A Study on Dongguksinsoksamganghangsildo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사 자료로서의 ‘개화기 소설’-개화기 소설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list of Gae-hwa-gi's novel(開化期 小說) for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시의전서』와 『반찬등속』의 국어학적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Linguistic Meanings of Shiui-jeonseo and Banchan-deungsok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글 고문서의 연구 의의와 연구 방법

The Significance of Study and the Research Methods of the Korean Historical Vernacular Documents

국어사연구 | 10 | 2010 | 국어사

한글 고문서의 연구 의의와 연구 방법

The Significance of Study and the Research Methods of the Korean Historical Vernacular Documents

국어사연구 | | 10 | 2010 | 국어사

<기슈가>의 음운현상 및 방언 어휘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henomena andthe traits of Dialectological word of that is the Korean tradtional poetry, “Gasa(가사)”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슈가>의 음운현상 및 방언 어휘

A Study on the Phonological phenomena andthe traits of Dialectological word of that is the Korean tradtional poetry, “Gasa(가사)”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초기 전라 방언 자료 『수운정비회유록』(睡雲亭悲懷遺錄) 연구

A study on “Suunjeongbihoeyurok” reflected Jeolla dialect in the early period of 19th Century

한국문화 | 53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 계몽기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향

The Trends relating to Studies of Textbooks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s in Korea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東國新續三綱行實圖』와 방언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and Dialect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東國新續三綱行實圖』와 방언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and Dialect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방언형 형성의 통시성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동남방언의 몇몇 부사를 중심으로-

A Phonological Study on the Diachronicity of Dialectal Forms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북쪽 국어학자의 훈민정음 연구 분석과 학문적 계보

Analysis on Hunminjeongeum research of the northern scholars and their academic tendency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