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왕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16

한자 : 國王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王) () [ 王 ]

태국 민주주의의 혼란: 국가와 시민사회의 부조화

The Confusion of Democracy in Thailand: Discord of the State and the Civil Society

한국태국학회논총 | 19 | 1 | 2012 | 지역학

고려시대 署經의 행정절차와 성격

The Executive procedure and Character of Seogyoung in Koryo Period

역사문화연구 | 36 | 2010 | 역사학

고려시대 署經의 행정절차와 성격

The Executive procedure and Character of Seogyoung in Koryo Period

역사문화연구 | | 36 | 2010 | 역사학

『아르타샤스뜨라』에 나타난 국왕의 역할에 관한 연구: 내부관리통제 의무를 중심으로

Role of the King in Arthashastra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Internal Administration

남아시아연구 | 17 | 3 | 2012 | 지역학

태국의 정치변동과 민주주의: 주요 정치행위자를 중심으로

Political Change and Democracy in Thailand: Focusing on Major Political Actors

한국태국학회논총 | 18 | 2 | 2012 | 지역학

18세기 조선 정치사상과 그 전후 맥락

18th Century's Political Thoughts of Joseon Dynasty seen in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Before and After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英祖의 國王冊封에 나타나는 韓中 관계

Korea-China Relation appeared in the installation of King Yeongjo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태국 민주주의의 위기상황: 분석과 평가

The Crisis of Thai Democracy: Analysis and Evaluation

한국태국학회논총 | 17 | 1 | 2010 | 지역학

태국 민주주의의 위기상황: 분석과 평가

The Crisis of Thai Democracy: Analysis and Evaluation

한국태국학회논총 | 17 | 1 | 2010 | 지역학

조선 중기 이후 국왕의 혼례형태의 변화 -별궁의 운영과 ‘別宮親迎禮’의 성립-

The Transition of the King's Marriage Ceremony after the Middle Choseon Period

조선시대사학보 | 55 | 2010 | 역사학

조선 중기 이후 국왕의 혼례형태의 변화 -별궁의 운영과 ‘別宮親迎禮’의 성립-

The Transition of the King's Marriage Ceremony after the Middle Choseon Period

조선시대사학보 | | 55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