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질서

연구분야 : B0205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35

한자 : 國際秩序
영어 : international order

d02-02 정치/법률제도

목적_t

국제사회의 기본적인 목표를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국제 지역 질서 [ 國際地役秩序 ]

UF (비우선어)

 

 

세계 질서 [ 世界秩序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질서 [ 秩序 ]

N1:종류

hasKind (종류)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동아시아 국제 질서 () [ 東--國際秩序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전통적 국제 질서 [ 傳統的國際秩序 ]

hasBranch (분기/분과)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국제 안보 질서 [ 國際安保秩序 ]

중국의 부상을 보는 두 시각: 현상유지국인가, 도전국인가? : 미· 중 국제구조의 현재와 미래

Rising China: a Status Quo Power or a Challenger? U.S.- China Relations: Present and Future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2 | 2012 | 정치외교학

South Africa’s Foreign Policy: 1994-2008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외교정책-1994 - 2008-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5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Today’s Changing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and ROK’s Responsive Strategies

동북아연구 | 26 | 2 | 2011 | 국제관계/협력

역대정부의 통일정책 검토와 이명박정부의 통일정책 변화 방향

Unification Policies of the Previous Governments, and Change Direction of Unification Policy of Lee, Myung Bak's Government

국제정치연구 | 14 | 2 | 2011 | 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