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편소설

연구분야 : A101000 인문학 > 문학 > 소설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403

STNet ID : 1001165

한자 : 長篇小說
영어 : Long Piece Novel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설 () [ 小說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단편 소설 () [ 短篇小說 ]

RT (관련어)

비교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중편 소설 () [ 中篇小說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아버지와 아들 [Ottsy i deti]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혼불 [ 魂--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마의 산 (1924) [ 魔--山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대하 () [ 大河 ]

hasInstance (사례)

 

 

소년이 온다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상실의 시대 () [ 喪失--時代 ]

hasInstance (사례)

 

 

유리알 유희 (1943) [ 琉璃--遊戱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루공 마카르 총서 () [ --叢書 ]

<손천사영이록>의 도교적 면모와 의미

Taoist Aspect & Significance of “Sohncheonsayoungierok”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손천사영이록>의 도교적 면모와 의미

Taoist Aspect & Significance of “Sohncheonsayoungierok”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매일신보』 소설 문체의 변화와 독자의 형성과정

The literal transformation of novels on in the 1910s and the formation of its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매일신보』 소설 문체의 변화와 독자의 형성과정

The literal transformation of novels on in the 1910s and the formation of its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낙성비룡>의 구성적 특징과 소설사적 위상 -<소대성전>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서-

Constructive way and position in novel history of

Journal of korean Culture | 18 | 2011 | 현대시(국문학)

김동리 소설 <을화>의 인물 형상화- <무녀도>와 <을화>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iguring characters in Kim Dong-ri’s Novel

우리말글 | 53 | 2011 | 한국어와문학

『진주는 주었으나』의 이야기 방식과 근대성

The Methods of telling & the Modernity in 『Though gave the pearl』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192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每日申報における長型敍事物の展開構圖 -1920年代以降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설의 알바이트화, 장편소설이라는 (미완의) 기투 : 1940년을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인문평론』이라는 아카데미, 그 실천의 임계

The ‘Arbeitization’ of Novel, The (Unfinished) Project of Roman : Kim, Nam-Cheon around 1940’s, Criticism on Humanities as An Academy, and Its Limit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골 중편소설의 장르적 특성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Gogol’s Short Sovels

노어노문학 | 23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