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정책

연구분야 : B020506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 외교/안보/통일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479

한자 : 統一政策
영어 : unification policy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통일 방안 [ 統一方案 ]

N1:종류

hasKind (종류)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남북 대화 [ 南北對話 ]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통일론 [ 統一論 ]

부록

통일연구 | 16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본 바람직한 남북관계와 통일정책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esirable Inter-Korean Relations and Unification Policy in The Viewpoint of Nationalism

윤리연구 | 1 | 84 | 2012 | 학제간연구

탈냉전기 동북아 질서와 북한의 남북관계에 대한 인식

The Changes of North Korea’s Percep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한국정치연구 | 19 | 3 | 2010 | 한국정치사회

탈냉전기 동북아 질서와 북한의 남북관계에 대한 인식

The Changes of North Korea’s Percep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한국정치연구 | 19 | 3 | 2010 | 한국정치사회

독일 통일헌법 제정상의 교훈을 통한 한반도 통일헌법 구상

A Lesson on Establishment Stage of Unified Constitution in Germany and a Consideration of Unified Constitution on Korean

한독사회과학논총 | 22 | 1 | 2012 | 지역학

통일준비 프로그램의 비판적 검토: 학계 통일준비 공론화 사업을 중심으로

Critical Review on Unification Preparation Programs: Focusing on the Unification Preparation in Academic Field

평화학연구 | 13 | 3 | 2012 | 정치외교학

통일 독일의 노동시장정책과 정책적 시사점

The Labour Market Policy in Germany and Policy Lesson for Korea

경상논총 | 29 | 4 | 2011 | 경제학

통일정책 거버넌스와 시민사회의 역할 : 대북개발지원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Governance of Unification Policy and the Role of Civil Society: A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Assistance to North Korea

시민사회와 NGO | 8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통일정책 거버넌스와 시민사회의 역할 : 대북개발지원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Governance of Unification Policy and the Role of Civil Society: A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Assistance to North Korea

시민사회와 NGO | 8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대북정책의 제도적 기초와 국민적 합의 도출을 위한 전제* -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의 정비를 중심으로 -

Institutionelle Grundlage für die Nordpolitik und Voraussetzungen für die nationale Konsensbildung - Insb. über die Verbesserung des 「Gesetzes für die Entwicklung des Verhältnisses zwischen Süd- und Nordkorea」 -

고려법학 | 59 | 2010 | 법학

대북정책의 제도적 기초와 국민적 합의 도출을 위한 전제* -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의 정비를 중심으로 -

Institutionelle Grundlage für die Nordpolitik und Voraussetzungen für die nationale Konsensbildung - Insb. über die Verbesserung des 「Gesetzes für die Entwicklung des Verhältnisses zwischen Süd- und Nordkorea」 -

고려법학 | | 59 | 2010 | 법학

통일 직후 과도기 상황에서의 북한지역 안정화 방안: 군 ․ 경의 질서 유지와 치안 확보

Measures to Stabilize North Korea in the Period of Transition after the Reunification : The Maintenance of Order and Public Security by the Military and Police

국방연구 | 55 | 2 | 2012 | 정책학

북한 세습체제의 구축과 대남통일정책

The Establishment of Hereditary Regime of North Korea and Its Unification Policy

한국동북아논총 | 16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북한에서의 남한연구 현황과 특징 : 대북·통일정책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에서의 남한연구 현황과 특징 : 대북·통일정책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청소년 통일교육의 새로운 모형 -‘고난함께’의 “평화캠프” 사례를 중심으로-

The New Model for Juveniles Unification Education: A Case Study of “Peace Camp”

기독교교육 논총 | 29 | 2012 | 기독교교육

한반도 통일을 위한 진실한 리더십의 재고찰

Reconsideration of Authentic Leadership for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한국동북아논총 | 17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이승만 대통령의 반공과 통일정책에서의 상징성

Symbolism in Anticommunism and Unification Policy of President Seungman Lee

한국보훈논총 | 10 | 2 | 2011 | 기타사회학

남북한 통일 정책의 변화로 본 북한연극연구사

Research History of North Korean Theater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Policy in Stages

한국연극학 | 1 | 46 | 2012 | 연극

South Korea’s Sunshine Policy Revisited:Interest, Institutions and Policy Change

한국 햇볕정책의 재평가: 이익, 제도 및 정책변화

통일연구 | 14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South Korea’s Sunshine Policy Revisited:Interest, Institutions and Policy Change

한국 햇볕정책의 재평가: 이익, 제도 및 정책변화

통일연구 | 14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역대정부의 통일정책 검토와 이명박정부의 통일정책 변화 방향

Unification Policies of the Previous Governments, and Change Direction of Unification Policy of Lee, Myung Bak's Government

국제정치연구 | 14 | 2 | 2011 | 사회과학

한국 통일정책의 전개과정: 현실주의적 해석의 관점에서

Reviewing South Korea’s Reunification Policy: In the Lens of Realistic Interpretation

북한연구학회보 | 15 | 2 | 2011 | 정치외교학

남북한의 통일정책 비교

Comparison of Unification Polici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한국보훈논총 | 11 | 2 | 2012 | 기타사회학

역대 한국 정부의 통일 정책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응답(전쟁과 평화 전통을 중심으로)

A Christian Ethical Analysis of South Korea’s Unification Policies

기독교사회윤리 | 20 | 2010 | 기독교신학

역대 한국 정부의 통일 정책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응답(전쟁과 평화 전통을 중심으로)

A Christian Ethical Analysis of South Korea’s Unification Policies

기독교사회윤리 | | 20 | 2010 | 기독교신학

남북회담의 제도화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남북적십자회담의 성립 경로를 중심으로

Possibility to Institutionalized on the North-South Dialogue in Korea : Focus on the inter-Korean Red Cross Dialogue

평화학연구 | 11 | 4 | 2010 | 정치외교학

남북회담의 제도화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남북적십자회담의 성립 경로를 중심으로

Possibility to Institutionalized on the North-South Dialogue in Korea : Focus on the inter-Korean Red Cross Dialogue

평화학연구 | 11 | 4 | 2010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