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 정책

연구분야 : B0205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 외교정책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992

한자 : 外交政策
영어 : foreign policy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정책 () [ 政策 ]

N1:종류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실리주의 () [ 實利主義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고립 주의 [ 孤立 主義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쇄국 [ 鎖國 ]

hasKind (종류)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문화외교 [ 文化外交 ]

hasKind (종류)

 

 

개입주의 () [ 介入主義 ]

hasKind (종류)

 

 

해외 원조 정책 [ 海外援助政策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유화 [ 宥和 ]

hasKind (종류)

 

 

한반도 외교 정책 [ 韓半島外交政策 ]

hasKind (종류)

 

 

통일 외교 정책 [ 統一外交政策 ]

hasKind (종류)

 

 

군사 외교 정책 [ 軍事外交政策 ]

hasKind (종류)

 

 

경제 외교 정책 [ 經濟外交政策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개방 정책 [ 開放政策 ]

R1:개념적

basesOn (근거/토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일방주의 () [ 一方主義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외교 교섭 [ 外交 敎涉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신정부 [ 新政府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조선책략 () [ 朝鮮策略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대외 정책 () [ 對外政策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외교 채널 [ 外交-- ]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중국 위협론 () [ 中國威脅論 ]

RT (관련어)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외교 전략 [ 外交戰略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양절론 [ 兩截論 ]

hasInstance (사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양득론 [ 兩得論 ]

중견국가와 인도적 국제주의 외교정책: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대외원조정책을 중심으로

Middle Power and Humanitarian Internationalism: The case of Scandinavian foreign aid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중견국가와 인도적 국제주의 외교정책: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대외원조정책을 중심으로

Middle Power and Humanitarian Internationalism: The case of Scandinavian foreign aid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비스마르크의 식민정책과 거문도 사건

Bismarck’s Colonial Policy and Port Hamilton Incident

서양사연구 | 46 | 2012 | 기타서양사

후진타오 시기 중국의 중앙아시아 정책에 관한 연구

China's Foreign Policy toward Central Asia in Hu's Era: Zero-sum or positive-sum?

국제.지역연구 | 19 | 1 | 2010 | 정치외교학

후진타오 시기 중국의 중앙아시아 정책에 관한 연구

China's Foreign Policy toward Central Asia in Hu's Era: Zero-sum or positive-sum?

국제.지역연구 | 19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의 대 아프리카 외교의 동학과 대응방안: 에너지·자원외교를 중심으로

The Change of Korea's Foreign Policy toward Africa: Energy and Resource Diplomacy

국제관계연구 | 16 | 2 | 2011 | 정치외교학

메콩강유역개발사업(GMS)을 통해 본 중국의 대 동남아시아 지역협력 연구: 중국 대외정책의 변화배경과 지역협력의 양면성

A Study on China's Regional Cooperation Efforts with Southeast Asia:Greater Mekong Subregion Economic Cooperation Program (GMS)

국제.지역연구 | 21 | 2 | 2012 | 정치외교학

미국 대통령 선거와 군사개입, 그 숨겨진 상관성

A Hidden Relationship Between U.S. Presidential Elections and Presidential Decisions to Use Force Abroad

한국과 국제정치 | 27 | 4 | 2011 | 정치외교학

Sino-African Relationship -Partner for Developmentor 21stCentury Coloniser-

중국-아프리카 관계 -전략적 동반자와 21세기 제국주의 간의 논의-

유라시아연구 | 8 | 4 | 2011 | 기타사회과학

전후 일본 ODA 정책의 변화상 -해석과 평가-

The Change of Japanese ODA Policy :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일본연구논총 | 32 | 2010 | 지역학

전후 일본 ODA 정책의 변화상 -해석과 평가-

The Change of Japanese ODA Policy :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일본연구논총 | | 32 | 2010 | 지역학

中美两国政府的国际体系认知与战略关系 -以权力转移理论的观点分析-

A Review of the Strategic Relation the U.S and China have Adopted in Regards to the International System -An Analogy from the Perspective of Power Transition Theory-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2 | 2011 | 행정학

폴란드 제2공화국 하에서 농민당의 외교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sh People’s Party’s Foreign Policy(1918-1939)

EU연구 | 27 | 2010 | 지역학

폴란드 제2공화국 하에서 농민당의 외교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sh People’s Party’s Foreign Policy(1918-1939)

EU연구 | | 27 | 2010 | 지역학

이라크 전쟁의 레오 스트라우스 책임론에 대한 정치철학적 비판

A Political Philosophy-based Critique of Leo Strauss’s Responsibility for the Iraq War

국제.지역연구 | 21 | 1 | 2012 | 정치외교학

대북정책 결정과정과 국회의 역할

ROK Government's Policy to the North and the Role of National Assembl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2 | 2011 | 정치외교학

미국의 대외원조정책에 대한 실증분석: 인권정책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U.S. Foreign Aid Policy Regarding Human Rights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미국의 대외원조정책에 대한 실증분석: 인권정책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U.S. Foreign Aid Policy Regarding Human Rights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일본 민주당 신정권의 환동해권 외교정책의 변화 비교연구: 구 자민당 정권들과 비교하여

Comparative Analysis of Japanese Foreign Policy towards East-Sea Rim Countries by the New Democratic Party Government: Comparing with Previous Liberal Democratic Party Governments

비교민주주의연구 | 6 | 1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일본 민주당 신정권의 환동해권 외교정책의 변화 비교연구: 구 자민당 정권들과 비교하여

Comparative Analysis of Japanese Foreign Policy towards East-Sea Rim Countries by the New Democratic Party Government: Comparing with Previous Liberal Democratic Party Governments

비교민주주의연구 | 6 | 1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중국계 백제관료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hinese Baekje Officials

史叢(사총) | 77 | 2012 | 기타역사일반

1989년 이후 체코 외교정책의 접근 방향: 대서양주의와 유럽주의

Foreign Policy of Czech Republic after 1989: Atlanticism and Europeanism

국제지역연구 | 14 | 3 | 2010 | 지역학

1989년 이후 체코 외교정책의 접근 방향: 대서양주의와 유럽주의

Foreign Policy of Czech Republic after 1989: Atlanticism and Europeanism

국제지역연구 | 14 | 3 | 2010 | 지역학

대통령의 리더십 스타일과 외교정책 참모체계의 성격: 조지 W. 부시와 버락 오바마

Presidential Leadership Style and the Nature of the Foreign Policy Advisory System: George W. Bush and Barack Obama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4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South Africa’s Foreign Policy: 1994-2008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외교정책-1994 - 2008-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5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분단과 한국의 외교: 주변 4강과의 정상회담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Division on Korean Foreign Policy: An Analysis on Summit Meeting with Surrounding Four Powers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분단과 한국의 외교: 주변 4강과의 정상회담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Division on Korean Foreign Policy: An Analysis on Summit Meeting with Surrounding Four Powers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Brazil’s Foreign Policy Under Lula: Policy Change and Political Implications

룰라시대 브라질의 외교정책: 정책변화와 정치적 함의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 8 | 1 | 2011 | 지역학

일본 집권 민주당의 대러 분쟁 4도 정책과 바람직한 접근 방법

Japanese Ruling Democratic Party’s Policy on the Four Disputed Islands toward Russia and a Desirable Approach of the Japanese Democratic Party

신아세아 | 17 | 3 | 2010 | 정치외교학

일본 집권 민주당의 대러 분쟁 4도 정책과 바람직한 접근 방법

Japanese Ruling Democratic Party’s Policy on the Four Disputed Islands toward Russia and a Desirable Approach of the Japanese Democratic Party

신아세아 | 17 | 3 | 2010 | 정치외교학

세계화시대의 외교정책과 싱크탱크: 정책지식의 전문성과 글로벌 네트워크

Foreign Policy and Think Tank in the Age of Globalization: Professionalized Policy Knowledge and Global Network

국제정치논총 | 52 | 2 | 2012 | 정치외교학

오바마 행정부 국제주의 외교정책 이념의 역사적 유산과 실제

Historical Legacies and Practices of Obama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Ideology of Internationalism

국제정치논총 | 50 | 1 | 2010 | 정치외교학

오바마 행정부 국제주의 외교정책 이념의 역사적 유산과 실제

Historical Legacies and Practices of Obama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Ideology of Internationalism

국제정치논총 | 50 | 1 | 2010 | 정치외교학

오바마 행정부의 대 중동· 헤즈볼라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bama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ies on the Middle East and Hezbollah

국방연구 | 53 | 2 | 2010 | 정책학

오바마 행정부의 대 중동· 헤즈볼라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bama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ies on the Middle East and Hezbollah

국방연구 | 53 | 2 | 2010 | 정책학

한국 외교정책과 여론: 미국 쇠고기 수입 반대시위의 이론적 함의를 중심으로

Korean Foreign Policy and Public Opinion: Focused on Theoretical mplications of Candlelight Protests against U.S. Beef Imports

한국과 국제정치 | 26 | 3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 외교정책과 여론: 미국 쇠고기 수입 반대시위의 이론적 함의를 중심으로

Korean Foreign Policy and Public Opinion: Focused on Theoretical mplications of Candlelight Protests against U.S. Beef Imports

한국과 국제정치 | 26 | 3 | 2010 | 정치외교학

통일 이후 독일 외교정책의 변화: 패권국가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s in German foreign policy after reunification :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hegemon state

정치·정보연구 | 14 | 1 | 2011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