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운

연구분야 : F060100 농수해양 > 해상운송학 > 해상운송공학

클래스 : 경제/산업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1

STNet ID : 9000967

한자 : 水運

b01-03 경제/산업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수상 운재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수송 [ 輸送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남한강 수운 [ 南漢江水運 ]

R1:개념적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소주 [ 蘇州 ]

한국 신종교의 도교문화와 생명관-대순사상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Taoistic Culture and Viewpoint of life in Korean New Religion: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n Daesoon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3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도교문화와 생명관-대순사상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Taoistic Culture and Viewpoint of life in Korean New Religion: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n Daesoon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3 | | 2010 | 종교학

근대민족종교 창교자들의 예언비결 고찰

A Study on (the) Secrets of Prophecies and (the) Fonders of Modern Ethnic Religion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민족종교 창교자들의 예언비결 고찰

A Study on (the) Secrets of Prophecies and (the) Fonders of Modern Ethnic Religion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민족종교 창교자들의 예언비결 고찰

A Study on (the) Secrets of Prophecies and (the) Fonders of Modern Ethnic Religion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민족종교 창교자들의 예언비결 고찰

A Study on (the) Secrets of Prophecies and (the) Fonders of Modern Ethnic Religion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신종교 개창자의 탄생설화와 종교문화

The Founder's Birth-faith of the New-religion and Religious Culture in Korea

종교교육학연구 | 32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 개창자의 탄생설화와 종교문화

The Founder's Birth-faith of the New-religion and Religious Culture in Korea

종교교육학연구 | 32 | | 2010 | 종교학

朝鮮後期~韓末 榮山江 水運과 市場

Youngsan River water transport and market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도서문화』 | 38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신종교의 개벽사상에 관한 고찰 -수운, 증산, 소태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oughts of the Great Opening of Korean New Religions -Focused on the Suun, Jeungsan, and Sotaesan-

신종교연구 | 24 | 24 | 2011 | 종교학

동서 교섭의 관점에서 본 몸과 마음 이해 - 동학과 스피노자를 중심으로

The Understanding of Body and Soul in the Perspective of the East-West Exchange and Cooperation - Focusing on Donghak and Spinoza

동학학보 | 24 | 2012 | 역사학

수운 최제우의 사상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성과 정치 인식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

Ideological Character and Political Understanding in Suwoon Choi Je-Woo's Thought

민족사상 | 5 | 4 | 2011 | 한국정치사상